•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GIS를 활용한지석묘 공간분포패턴의사회경제적 배경 이해- 고창분지 일대를 중심으로 - (An Comprehension on Social Economic Background of Dolmen’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round Gochang Basin Using GI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1.05
37P 미리보기
GIS를 활용한지석묘 공간분포패턴의사회경제적 배경 이해- 고창분지 일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문화유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중앙고고연구 / 8호 / 1 ~ 37페이지
    · 저자명 : 강동석

    초록

    고창분지 일대는 폐쇄적 지형조건을 지니고 있으며, 지석묘군 밀집분포양상, 주형지석묘 집중분포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공간적 분석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고창분지 내에는 고창 상갑리·죽림리지석묘군, 상금리 지석묘군 등과 같은 대규모 군집이존재하는데, 이러한 군집의 형성배경 이해를 위해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중심지석묘군의 선정과 권역설정, 권역 내의 취락입지 적합성 및 가용농지 면적비 평가 등을실시하였다.
    고창분지 내 지석묘는 군집규모, 밀도, 주형지석묘의 분포위치 등에 따라 등급화가 가능하다. GIS를 활용한 등급화 분석을 통해 고창·대산·해리 지석묘군을 최상위 등급이분포하는 중심지석묘군으로 선정하였다. 중심지석묘군의 분포권역은 가시권 분석과 비용-거리분석, 버퍼분석, 행정구역정보 등을 활용하여 지석묘 축조집단의 취락공간으로복원가능하다. 이것은 취락은 넓은 의미에서 생활공간뿐만 아니라, 생업경제 활동영역과 매장의례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지석묘군의 분포정보를 통해 취락의 공간적 범위설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중심지석묘 권역 내 취락 입지의 적합성과 가용농지 분포정도는 취락공간을 점유하고 있던 지석묘 축조집단의 규모 발달정도, 사회복합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사회경제적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취락입지 적합성 평가는중심지석묘군 권역의 경사, 사면향, 고도, 수계와의 거리 등 지형조건을 평가하였으며,가용농지는 논, 밭 등 경작 가능한 농지의 면적비를 분석하였다. 평가결과, 중심지석묘군 전체 권역의 50% 이상 지역이 지형적으로 취락입지에 유리한 최상위 등급 분포지역이며, 가용농지 면적 또한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중심지석묘군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이 인간의 거주에 적합한 지형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으며, 생업경제적측면에서도 유리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유리한 지형적, 사회경제적 조건을 갖춘 중심지석묘군 분포지역은 한정된 자원의 이용과 통제, 사회통합 과정을 거쳐 수장층이 성장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하였으며, 계층사회의 경제적·정치적 권한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지석묘를 축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Gochang Basin has been set as a spatial analysis level.
    The region has features of closed geographical condition, formation ofconcentrated dolmen group, and intensively concentrated pillar-formeddolmen distribution area, etc. Especially, There are large size dolmen groupssuch as Gochang Sanggap-ri, Juknim-ri dolmen group, Sanggeum-ri dolmengroup, etc. This thesis used GIS spatial analysis method for understandingformation background of these groups. I selected central dolmen group andset the analysis region and evaluated suitability of settlement position in theregion, available farmlands area ratio, etc.
    It was possible to classify dolmen in Gochang basin according to scale ofgroup, density, location of pillar formed dolmen distribution, etc. It wasthe reason of selecting central dolmen group that Gochang, Daesan, Haridolmen group have highest class of distribution. As a result of analysis,central dolmen groups were distributed forming locally special sphere. Thisthesis reconstructed settlement spaces of construction of dolmen group usingvisible area analysis, cost-distance analysis, buffer analysis, administrativeblock information in dolmen group distribution area.
    A settlement is a concept including all of not life space but also economicactivity area for living and funeral-cemetery space in broad sense. In thatsense, it is possible to set spatial scale of community using distribution information of dolmen group. Social economic conditions, such as suitabilityof community location and distribution scale of available farmlands, mightaffect as critical factors determining degree of development of constructingdolmen group scale and social complexity. It was used spatial conditionanalysis, such as slope, slope direction, altimeter, distance from water system,etc., for evaluating of suitability of settlement position. This thesis analysedcultivatable farmland area (race paddy, field) and ratio in central dolmengroup area. In the result of evaluation, central dolmen groups occupied over50 % of in most of total regional areas where are highest grade of distributionarea in settlement position and area securing cultivatable farmland factors.
    Central dolmen groups were distributed in regions where has suitablegeographical conditions for human community and had social economicbackground which supported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critical livingeconomy when the dolmen had been constructed.
    These central dolmen group distribution areas where have advantageousgeographical, social economic conditions had affected on development of topruling class through a process using and controlling limited natural resourcesand social integration. The construction of dolmen might had contributedon tools of sustaining economic and political authorities in class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고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