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봉 송익필의 리기묘합적 사유 -한국유가철학 방법론 모색- (The Gubong Songikpil’s Thought of Li-Gi Myohap -Pursuing a Methodology for Korean-Confucian Philosoph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12
31P 미리보기
구봉 송익필의 리기묘합적 사유 -한국유가철학 방법론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56호 / 285 ~ 315페이지
    · 저자명 : 김동희

    초록

    한국유가철학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방법론적 문제인데, 이는 어떻게 한국유가의 철학적 사유를 탐구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 지금까지 조선유가의 철학적 사유에 관한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다카하시 도오루의 퇴계와 율곡을 중심으로 한 主理·主氣라는 배타적인 이원적 사유나 중국 신유학(주자학)의 발생론적인 태극(리) 일원적 사유의 틀을 암묵적으로 의존해 왔다. 물론 다카하시 연구가 학파와 당쟁을 연계시키는 정치적 당파성에 입각한 연구라는 점과 그 연구가 근대서양철학의 실체론적 사고라는 사상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는 한계점에 대해서는 해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다카하시 연구의 학문적 경향이나 태도를 비판 한 것이지, 조선유가철학의 철학적 사유나 그 연구 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구봉 송익필의 理氣妙合的 思惟와 그 구조 및 전개를 탐구한다. 탐구과정에서 구봉은 퇴계와 율곡과 마찬가지로 중국 주자학의 태극 일원론적 사유 방식을 지양하는 리기묘합적 사유를 공유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그리고 구봉은 퇴율과 다르게 자신만의 독창적인 리기묘합적 사유를 전개하는데 그 학파와 당파에 있어서 율곡의 기호학파에 가깝지만, 퇴계의 리기묘합적 사유에 나타나는 리의 수사학적 능동성을 강조하는 철학적 사유와 부합하고 있음을 논구한다. 구봉의 리기묘합적 시유와 그 구조 및 전개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구봉은 리기묘합적 사유의 존재론적 차원과 우주론적 차원을 ‘理在氣中’의 구조 아래 각각 ‘太極含動靜’과 ‘太極有動靜’으로 전개하고, ‘理在氣中’에 정합한 심성론의 ‘性在心中’ 구조에서 四端七情을 논한다.

    영어초록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the study of Korean-Confucian philosophy is on the methodology, how to explore its thought.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Korean-Confucianism have implicitly relied on the exclusive and dualistic framework that Takahashi Toru(高橋亨) is classified in terms of Ju-Li(主理) and Ju-Gi(主氣), and on the Chinese Neo-Confucianim’s generative thought of Taegeuk(太極)-Monism. Of course, the limitations that Takahas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olitical section linking school and faction and that it has an ideological background with modern Western philosophy’s substantial thought, are explained. However, these studies criticized Takahashi’ academic trends or attitudes, not the philosophical thought and research method of Korean-Confucian philosophy. On this problematic this paper explores Gubong's thought of Li-Gi-Myohap(理氣妙合), its structure and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exploration it shows Gubong as like Toegye and Yulgok shares the thought of Li-Gi-Myohap for avoiding the Chinese thought of Taegeuk-Monism; and, that unlike Toegye and Yulgok, he develops his own original thought of Li-Gi-Myohap, which is closely related to Yulgok’s school and faction but conformed to Toegye’s philosophical thought that puts an emphasis on Li's activity in rhetoric. The summary of Gubong's thought of Li-Gi-Myohap, its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its development are as follows. Gubong develops the ontological and cosmological dimensions of the Li-Gi-Myohap thought into Taegeuk-Ham-Dong·Jeong(太極含動靜) and Taegeuk-Yu-Dong·Jeong(太極有動靜) respectively in the structure of Li-jae-Gijung(理在氣中) , and delivers a discourse on the theory of Sadan-Chiljeong(四端·七情) in the structure of Seung-jae-Simjung(性在心中).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