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隱 朴翊先生墓 出土遺物의 考古學的 解釋 (An Archaeologicl Interpretation on the artefacts found from Park Ik Tomb)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0.12
30P 미리보기
松隱 朴翊先生墓 出土遺物의 考古學的 解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33호 / 345 ~ 374페이지
    · 저자명 : 정의도

    초록

    박익묘는 고려시대에 유행하였던 방형분에 석실묘로 조성된 것인데 발굴조사 결과 석실 내에서 출토된 유물은 관재와 지석, 청동제 수저 한 벌이 있고 화문각석과 9점의 동전은 도굴갱내에서 수습되었다.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조성된 분묘에서 출토되는 유물상을 고려하면 박익묘에는 청동제합 세트, 동경, 철제가위, 유리제 장신구, 벼루 등이 당시의 부장품으로 매납되었을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익묘는 지석과 동전 등의 유물로 보아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이 분명하지만 방형분과 석실묘, 관재의 문양, 화문각석, 수저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전통을 따라 조성된 것임을 보여주는중요한 예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유물은 묘주와 장례시기를 알려주는 지석이라고 하겠다.
    지석은 그 내용에 있어서는 대단히 소략한 점이 있어 그 연유는 박익의 생애와 장례 시기 등을아울러 검토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지석에 국호를 새기지 아니한 것은 고려의 사람으로 조선의 세상을 살았던 박익으로서는 불가피한 선택이었을지도 모른다. 또한 조선시대에 이르면 방형분과 석실묘가 거의 사라지고 석재로 만든 지석도 그 예가 드문 편인데 박익묘에서는고려조의 전통을 고수한 까닭인지 방형으로 하고 석재지석을 사용하였다. 아울러 관에도 옻칠을한 후 그 외면에는 범자문과 중권문을 시문하여 불교적인 색채를 강하여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사용흔이 남아 있는 한 벌의 청동제 수저는 고려나 조선의 무덤에서 수저 한 벌로 출토된것도 드문 경우긴 하지만 청동숟가락은 형식 분류 상 장릉형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조선시대분묘에서도 그 출토 예가 드문 것이다. 또한 9점의 동전은 모두 중국전으로 고려시대 이래 중국에서전래된 묘장풍습이 그대로 전해진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아울러 도교적인 매지사상을 보여주는유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영락통보는 지석의 기록을 뒷받침하는 아주 중요한 유물로 1398년에세상을 떠난 박익선생의 묘가 1403년 이후에 새롭게 조성되었음을 알려주는 자료라 하겠다.
    그리고 화문각석은 연이 잎이 나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세 단계를 표현한 것이라고할 수 있겠고 한 쌍의 역만자원문과 연과를 함께 새긴 것은 불교적 색채를 뚜렷이 하고 있으며관재에 그려진 범자문과 더불어 분명한 불교적인 문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쉬운 것은도굴로 인하여 화문석이 원래의 위치를 알 수 없는 것이며 각석의 4면 중 1면이 비어있는 것은벽면 한쪽에 세우기 위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와 유사한 출토 사례가 아직은 없어 정확한설치 목적을 알기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이 박익묘의 조선시대에 조성된 분묘로는 드문 형식의 방형분의 석실묘이고 벽화는원대의 벽화를 답습하는 내용으로 그리고 있어 박익선생은 그의 말처럼 왕씨의 혼을 따라 조선초기를 살았던 마지막 고려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봉분 후면의 곡장과 병풍석 사이의부석층에서 15세기 중반의 분청자 대접과 도제 병이 출토되고 혼유석이 부가된 것은 박익묘가축조된 이래 끊임없이 유지 보수되어 왔음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artefacts found from Park Ik tomb include memorial stone, bronze spoon and wood for a coffin. To a certain extent, nine coins were found inside of the despoiling hole. Given the burial artefacts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bronze mirror, bronze plate set, iron scissors, glass ornaments and inkstone were entombed in Park Ik tomb. The most important artefact is a memorial stone which describes the deceased and time of the funeral. Normally this kind of stone shows very simple information and so further researches regarding Park Ik's lifetime and more detailed funeral resources should be carried out. The memorial stone has not contained the nationality and this is because Park Ik regarded himself as Goryeo people not a Joseon when the tomb was constructed. When it comes to Joseon Period, people did not build chambered-tombs and memorial stones. Park Ik tomb seemed quite different from this tradition as Park Ik maintained Goryeo tomb style which is chambered-tomb with memorial stone. Also lacquered coffin with Sanskrit and other decorations were found.
    The used bronze spoon set found here is a quite rare example of Goryeo and Joseon tomb conditions but given its types, these spoons belong to long-curved style. Nine coins all are Chinese' and they were buried according to the China's tomb burial customs which had been the tradition of Goryeo Period. This customs also had shown the Taoism culture of buying the burial land from the God. The coin of Ming China (Youngraktongbo) is such an important artefact which proves when this tomb was made. Flower-pattern embedded stone that depicted three steps of lotus blooming and the Sanskrit decorations are all related to Buddhism culture. As of the tomb robbery, it is not certain where the flower-pattern stones belonged to. Also one out of four stones has not been found so far and this kinds of artefacts have not been reported yet. Therefore exact purpose of the artefact cannot be discussed here unless further researches undergo.
    Park Il tomb was made during Joseon Period but it is a very rare chambered-tomb stylewith containing of Mural paintings of Won China. Therefore Park Ik may be the last Goryeo person of Joseon Period who pursued Wang spirit as he mentioned before. Furthermore grayish- blue-powdered ceradon and ceramics of 15th century were founded backwards of the tomb and this proved that the tomb of Park Ik continued to be under the maintenance since it was cre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