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장 노동요로서의 「靈廟寺丈六像 塑造時 風謠」 연구 (A Study of Pung-yo as a Field-work-s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5.08
36P 미리보기
현장 노동요로서의 「靈廟寺丈六像 塑造時 風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43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조용호

    초록

    본고는 『삼국유사』에 기록된 「塑造時 風謠」를 새롭게 해독하고 해석한 것이다. 서론에서는 기왕의 해독과 해석들이 지닌 중대한 문제점들을 제시하였고, 본론은 「양지사석」조의 관련 기사를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으로 출발하였다. 그 결과 이 노래는 양지가 장륙상을 만들 때 처음 불리게 된 일종의 토목 노동요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에는 이런 사실을 바탕으로 가사를 해독하고 해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노래에 가장 많이 나오는 어휘는 ‘來如’인데, 기왕에는 이것을 대개 ‘오다come’라는 실질적 의미를 가진 낱말로 읽어왔었다. 하지만 나는 이것을 ‘오~가’라고 해독하고, 그것이 단지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끌어올릴 때 구호로 사용하는 감탄사라는 견해를 제시했다. 그리고 늘 ‘서럽다’는 뜻으로 읽히곤 했던 ‘哀反’은 ‘슬 (用處)’를 표기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런 해독과 해석은 노래의 성격과도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는 이 노래가 어떤 상황에서 처음으로 불렸을지 추정하였다. 그 결과 두 패로 나뉜 여러 명의 일꾼들이 양지가 작업하는 비계 위까지 흙통을 끌어올리면서 불렀을 것이라고 보았다. 「풍요」는 단순하지만 중독성이 강했고, 그로 인해 질긴 생명력과 다른 노동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가변성을 지닌 노래였다. 이 때문에 신라에서 발생한 이 노래는 점점 활용도가 넓어져 고려시대에는 방아타령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for a new decipherment and interpretation of Pung-yo(「風謠」) written in Sam-guk-yu-sa(『三國遺事』). Firstly I suggested crucial problems in existing researches, and then thoroughly analyzed the song-related details in Yang-ji-sa-seok.(「良志使錫」: Yang-ji is a name of a Buddhist monk. Yang-ji-sa-seok means that the monk, Yang-ji, makes his pilgrim’s staff fly into the ai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manifestly ascertained that Pung-yo was a sort of civil engineering work song firstly sung when Yang-ji made a Jang-ryuk-sang.(丈六像 : Jang-ryuk-sang means a huge statue of the Buddha.) Secondly, on the base of prior analysis, I deciphered and interpreted the lyric of Pung-yo. The most frequently written word in the song was ‘Yeo-re’(如來), which had been usually red as ‘O-da’(오다: O-da means ‘come’.) in existing researches. I thought the word must be read as ‘O-ga’ and interpreted it as an exclamation like ‘alley-oop’ used when people lifted up something heavy. ‘Ae-ban’(哀反) had been always translated as ‘Seo-reop-da’(서럽다 : Seo-reop-da means ‘be sad’.), but I regarded the word as a transcription of ‘Seul-de’.(슬 : Seul-de means ‘usefulness’.) This interpretation corresponded with features of the song.
    In conclusion, I assumed in what kind of situation the song had been sung firstly. In the story of Yang-ji, he made the statue on a falsework. So I thought the song was sung when several workers, who were divided in two part, raised buckets filled with mud to Yang-ji. Pung-yo was simple but highly addictive, therefore it had a tenacious life force and an outstanding variability for another working situation. For this reason, Pung-yo which was born in the Sil-la dynasty gradually became more available song for many different situation like ‘Bang-a-ta-ryeong’(방아타령: It is a miller’s song.) in the Go-ryeo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