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화도 지석묘 사회의 형성과 발전 과정 재고 - 지석묘, 주거지, 경관 해석을 중심으로 - (Re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Dolmen Society of Ganghwa Islan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4
28P 미리보기
강화도 지석묘 사회의 형성과 발전 과정 재고 - 지석묘, 주거지, 경관 해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20권 / 1호 / 39 ~ 66페이지
    · 저자명 : 강동석

    초록

    본고에서는 강화도 지석묘군의 구조와 최근 조사된 주거유적을 재검토하고, 대형 탁자식지석묘의 경관 해석을 통해 강화도 지석묘 사회의 형성과 전개, 지역사회로서의 발전 과정과 유지 전략 등을 새롭게 고찰해 보았다.
    강화도 지석묘군은 지석묘의 형식 구성과 배치 구조에 따라 세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유형들은 대동강·재령강유역의 지석묘 군집과 매우 유사한 구조적 특징을 보이며, 서북한지역의 가장 이른 단계부터 늦은 단계에 나타나는 유형에 속한다. 이는 양 지역의 지석묘가 동일한 문화적 전통을 가지고 있었으며, 강화도 지석묘 사회가 단순히 각형토기문화의 확산과 유입이 아닌 직접적인 이주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최근 강화도에서 조사된 각형토기문화와 역삼동·흔암리유형은 지석묘 사회 발전 과정의 역동성을 보여 준다.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면, 청동기시대 전기 전엽에 각형토기문화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가 강화도에 먼저 정주하였고, 전기 중엽에는 이들과 역삼동·흔암리유형의 단위공동체가 공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주거공간이 분리되어 있고, 문화접변 양상을 찾아볼 수 없는점으로 보아, 상호 배타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본다. 이후 각형토기문화 공동체는 지석묘를 매개로 복합화 과정을 거치면서 강화도 내 역삼동·흔암리유형 세력을 통합하는 한편, 내륙으로부터 이들의 유입을 차단하며 지역적 차원의 정치체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역사회로의 발전 과정에서 대형 탁자식지석묘의 경관은 공동체를 유지·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대형 지석묘의 축조 지점과 가시 권역은 내륙과 접하는 경계 지점에 해당한다. 이는 대외적으로 지역공동체의 점유 영역을 직·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정체성을 강화하려는경관 조성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한편 부근리지석묘에 대한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사회네트워크 조직 내에서 정보를 통제하거나 의사소통 중개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적 위상을 지니고 있었다. 즉, 부근리지석묘 축조 공간은 국지적 단위공동체를 상호 연계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곳은 공동체 구성원들이 일상에서 거석기념물을 체험하며 동질성을 공유하는 장소이자, 소속감과 지역 애착을 지닌 사회구성원으로 재창조되는 의미화된 장소로구현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structure of the Ganghwa island dolmens and the recently investigated settlements were reviewed, 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dolmen society of Ganghwa island, as well as strategies for maintaining it as a community were newly reviewed.
    The Ganghwa island dolmen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type composition and layout of the dolmens. These cluster types exhibit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are very similar to the Taedong River and Jaryeong River Basin. In addition, the dolmen types appears in all forms from the earliest to the late stages of dolmen in the western North Korean region. This suggests that dolmens in both regions had the same cultural tradition, and that the Ganghwa island dolmen society was established not simply by the spread and inflow of the Top-type pottery culture, but by direct migration.
    Meanwhile, the Top-type pottery, Yeoksam-dong, and Heonam-ri types, which were recently investigated in Ganghwa-island, show the dynamics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cess. In terms of its development, it is estimated that in the early Bronze Age, a community based on the Top-type pottery culture settled in Ganghwa island first, and in the middle of the early Bronze Age, they and the unit communities of Yeoksam-dong and Huam-ri culture coexist. However, given that their settlements were separated and that they could not find cultural interactions, it is believed that they maintained mutually exclusive relationships. Since then, the Top-type pottery communities have integrated Yeoksam-dong and Huam-ri culture communities in Ganghwa island through the process of combining dolmens as a medium, while blocking their inflow from inland, which seems to have grown into a regional political communi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o these regional communities, the landscape of large table-style dolmens was used as a means of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the community.
    The construction places and visible area of the large dolmens correspond to the boundary bordering the inland area. This seems to be a result of the intentional landscape creation strategy to directly and indirectly express the occupied area of the Ganghwa-island dolmen construction group and strengthen the identity of the regional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power formed on the Gimpo Peninsula. And the betweenness of Bugeun-ri dolmens showed that they had a spatial status to perform their roles and functions as intermediaries within the network organization. In other words, large dolmens were constructed in the best place to interconnect local unit communities. This was a place where community members share homogeneity by experiencing the monument in their daily lives, and a meaningful place where they are recreated as members of society with a sense of belonging and regional attach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