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문학의 능동적 수용을 위한가치 탐구론 서설 - <이제ᄂᆞᆫ 못 보게도>를 중심으로 - (Introduction to value exploration theory for active acceptance of classical literature -Focusing on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4.05
37P 미리보기
고전문학의 능동적 수용을 위한가치 탐구론 서설 - &lt;이제ᄂᆞᆫ 못 보게도&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 / 185호 / 87 ~ 123페이지
    · 저자명 : 최홍원

    초록

    이 연구는 고전문학 작품의 능동적 수용을 위한 방법으로 가치 탐구의 수행을 제언하고, 사설시조 <이제ᄂᆞᆫ 못 보게도>를 대상으로 가치 탐구의 실현태와 작동 구조를 탐색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텍스트 세계가 제기하는 문제사태와 대응 방식에 대한 가치 탐구의 수행을 통해 능동적인 문학 수용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민족과 공동체라는 의미망 속에서 전통으로의 입문을 위해 특정한 가치로 정향된 고전문학 교육에 대한 대안의 모색인 것이다.
    2장에서는 능동적 수용의 방법론으로 기존의 공감 대신 가치 탐구를 제언하고, 고전시가의 가치 탐구 조건을 탐색하였다. 가치 탐구는 인물과 화자의 행동, 태도에 대한 평가와 판단, 대안의 마련을 수행하는 수용자의 활동 전반을 가리키는 것으로, 텍스트 세계의 능동적 수용을 위한 기제가 될 수 있다. 고전시가 또한 문제사태에 대한 의미있는 대응 방식을 담는 세계이며, 가치 탐구를 통해 수용자는 이러한 세계에 참여하는 가운데 자신의 가치 체계를 개방하고 조정하는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3장에서는 <이제ᄂᆞᆫ 못 보게도>의 변이형을 대상으로 능동적 수용의 실제 구현 양상을 확인하고, 그 기제로 주체의 가치 탐구가 작동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양한 변이형의 존재가 곧 수용자의 가치 탐구 수행에 따른 능동적인 참여의 표지에 해당한다고 보고 실현 양상을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능동적 수용을 위한 가치 탐구 수행의 작동 구조를 도출하였다. 먼저, 가치 탐구를 위해 텍스트 경험의 조건으로, ‘보편적 문제사태와 특수한 대응 방식의 길항’을 통해 삶과 세계에 대한 새로운 성찰과 조망을 이끌어냈다. 가치 탐구의 동기화 조건으로 감정의 가치소에 주목하고, 보편적인 감정이 가치 탐구를 자극․매개하는 요인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밝혔다. 가치 탐구의 작동 기제로 문학적 상상력에 주목하고, 타자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관점을 넘어서는 실천적, 목적론적 기능을 탐색하였다. 이어 가치 평가에 관여하는 제요소를 중심으로 자신의 관점과 가치 체계를 점검, 조정하는 과정의 지속성도 살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oposes the performance of value exploration as a method for the active acceptance of classical literary works, and its focus is to explore the realization and operational structure of value exploration targeting the Saseolsijo (辭說時調) <Ijeneun mot bogedo (I can't see you anymore)>. The goal is to promote active acceptance of literature through value exploration of the problems raised by the text world and ways to respond. This is a search for an alternative to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hich has been oriented toward specific values ​​for the introduction of tradition within the semantic network of nations and communities.
    In Chapter 2, value exploration, instead of the existing empathy, is proposed as a methodology for active acceptance, and the conditions for value exploration in classical poetry are explored. Value exploration refers to the overall activities of readers who evaluate and judge the actions and attitudes of characters and speakers, and prepare alternatives, and can be a mechanism for active acceptance of the text world. Classical poetry is also a world that contains meaningful ways of responding to problematic situations; through value exploration, recipients participate in this world and perform activities to open and adjust their value system.
    In Chapter 3, the actual implementation aspect of active acceptance is confirmed for the variant of <Ijeneun mot bogedo>, and it is revealed that the subject’s exploration of value is at work as a mechanism. Considering that the existence of various variants is a sign of the recipient’s active participation in value explo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se aspects of the recipient’s value exploration.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 existence of various variants is a sign of the recipient’s active participation in value exploration, this study examines aspects of the recipient’s value exploration performance.
    Based on this, Chapter 4 derives the operational structure of value exploration for active acceptance. First, as a condition of textual experience for value exploration, new reflections and perspectives on life and the world are elicited through “the antagonism of universal problems and special response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the value element of emotions as a motivating condition for value exploration and reveals that universal emotions act as factors that stimulate and mediate value exploration. It focuses on literary imagination as an operating mechanism for value exploration, and explores practical and teleological functions that go beyond the understanding of others and one’s own perspective. Next, the continuity of the process of checking and adjusting one’s perspective and value system is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elements involved in value eval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