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시대 연못의 조망경관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the Landscape View's Structure for the Ponds of Shilla Dynasty)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9.12
9P 미리보기
신라시대 연못의 조망경관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7권 / 4호 / 116 ~ 124페이지
    · 저자명 : 안계복

    초록

    이제까지 발굴된 신라시대 3개의 연못은 모두 굴곡인 심한 연못형태일 뿐만 아니라 특이한 조망경관 구조를 갖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신라시대 연못의 수평조망각도는 어떤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수경관적 특징은 조선시대와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1975~1976년도에 발굴된 안압지, 1998~1999년에 발굴된 용강동 연못, 그리고 1999~2004년에 발굴된 구황동 연못을 연구대상지로 삼았다.
    그 결과 첫째, 신라시대의 연못은 어떤 쪽을 조망하더라도 서로 다른 조망대상이 보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신라시대의 수 경관계획은 하나의 수평시야각의 단위가 되는 60°를 기준으로 조망대상을 다르게 배치하여 경관체험의 변화를 꾀하는 계획이었다. 둘째, 신라시대 수경관에는 편심성의 원칙이 적용되었다. 셋째, 신라시대 연못에는 조망지점의 정면으로부터 60° 회전한 조망선을 중요시 하였다. 이 조망선에 소도(小島), 돌출호안, 수중 암도(岩島), 용왕전, 특이한 형태의 석조(石組) 등 연못 경관구성에 특이한 경관들을 위치시켰다. 연못의 수평조망각은 신라시대가 202°로 조선시대의 100°보다는 훨씬 넓다. 수평시야각 한 단위인 60°를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신라시대는 수평시야각의 3.4배, 조선시대는 1.7배이기 때문에 신라시대의 연못이 조선시대보다 훨씬 더 경관을 돌아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신라시대의 연못은 경관이 한눈에 파악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라, 경관을 돌아보며 풍부한 경관 체험을 느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영어초록

    The three ponds of Shilla Dynasty which are excavated so far have heavily-crooked shape and all of them had been designed to have particular landscape structure of view.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verif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view angle for the ponds of Shilla Dynasty,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ponds of Chosun Dynasty. And I made Anapji(excavated in 1975~1976), Yonggangdong-pond(excavated in 1998~1999) and Guwhangdong-pond(excavated in 1999~2004) objects of this study for i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onds of Shilla Dynasty are constructed to make come in sight something different wherever and from what direction sees them. In other words, they put the targets of view in position differently by 60° which is the unit of horizontal angle of view, in order to have changes. It is much accounted of the view-line which is rotated by 60° from the front of the viewpoint. They arranged particular landscapes for the composition of pond's landscape like little isle, salience bank, under-watered stone-isle, the Dragon building, peculiar stone organization.
    The horizontal angle of the pond of Shilla is much broader(202°) than that of Chosun(100°). As we consider the unit of horizontal angle of view is 60°, we can see the Shilla's horizontal angle is 3.4 times bigger, and Chosun's is 1.6 times bigger. That is, the pond of Shilla was constructed to look around much more the landscapes than that of Chosun not catching it at one s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