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앙리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의 영화에 재현된 몸과 공간의 상호성 (The Reciprocity of the Body and Space Reproduced in Jia Zhang-ke’s Film Based on Henri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5
22P 미리보기
앙리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의 영화에 재현된 몸과 공간의 상호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문화지평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반영과 재현 / 1권 / 1호 / 35 ~ 56페이지
    · 저자명 : 왕겅이, 정태수

    초록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토대로 지아장커의 영화에 접근하고자 한다. 르페브르에게 있어서 공간은 인간의 신체적 행위를 통해 남과 관계를 맺어서 형성된 사회적 질서이다. 남과 관계를 맺는 것은 그 자체가 사회적인 것이기 때문에 공간과 사회가 자연스럽게 결합되고, 이를 통하여 사회적 공간은 탄생한다. 필자가 이 논문을 통해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사회적 공간을 생산하는 데 인간(몸)의 역할과 몸과 공간의 상호관계이다. 이에 대해 르페브르에 따르면 공간과 사회적인 것을 연결시켜준 것은 바로 인간의 실천(몸짓)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몸은 사지를 지배하는 ‘대량 에너지’와 뇌가 주도하는 ‘미세 에너지’를 통해서 사회적인 것과 공간을 연결시키며 생산한다. 영화는 배우(인간)의 행동으로 사건(사회적인 것)과 장소(공간)를 연결시켜줌으로써 사회적 현실을 재현한다. 이처럼 영화의 사회적 현실의 재현방식과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이론은 어느 정도유사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는 지아장커의 영화 속 몸과 공간의 관계성을 입증하는 데 있어 르페브르의 공간담론은 매우 적절한 분석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가반으로 1978년 개혁개방 이후의 중국 사회적 현실을 냉철하게 기록하는 중국 제6세대 감독인 지아장커(賈樟柯)의 <세계(世界)>(2004), <동(東)>(2006), <스틸 라이프(三峽好人)>(2006), <무용(無用)>(2007), <24시티(24城記)>(2008)이라는 다섯 편의 장편 영화에 접근하고자 한다.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이론을 토대로 그의 영화에 재현된 몸과 공간 사이에 내재된 상호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Jia Zhang-ke's films based on Henri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For Lefebvre, space is a social order formed by connecting with others through the physical actions of humans. Because it is social in itself that meets relationships with others, space and society are naturally combined and social space is born. so I want to reveal through this paper is the role of human beings (body) in producing social space and the reciprocity of body and space. According to Lefebvre, it is human practice (body move) that connects space and society. More specifically, the human body connects and produces space with social things through "massive energy" that dominates the limbs and "fine energy" led by the brain. The film reproduces social reality by linking events (social) to places (space) with the actions of actors (human beings). As such, it is somewhat similar to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theory to the way movies reproduce their social reality. Therefore, it is sufficiently possible to apply hi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to movies. Therefore, in this paper, based on hi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Chinese sixth-generation director Jia Zhang-ke's <World世界>(2004), <Dong東>(2006), <Still Life三峽好人>(2006), <Useless無用>(2007) and <24city24城記>(2008) approaches to Chinese social reality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of 1978. Based on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theory, he will be able to analyze in depth the inherent reciprocity between the body and space reproduced in his fil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