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실시간 양방향 연극교육/교육연극에서 신체화(몸을 통한 구현)의 활성화를 위한 수업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odel for Embodied (Implementation through the Body) Revitalization through Online Real-time Interactiv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11
26P 미리보기
온라인 실시간 양방향 연극교육/교육연극에서 신체화(몸을 통한 구현)의 활성화를 위한 수업모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연극학 / 15권 / 3호 / 43 ~ 68페이지
    · 저자명 : 구민정

    초록

    이 연구는 온라인 양방향 연극교육/교육연극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신체활동과 그 활성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모델을 구안하고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수업 모델을 설계·개발하여 적용한 후 학습자들의 심층 인터뷰를 종합하여 해석하였다. 온라인 양방향수업 플랫폼으로는 Zoom을 활용하였고, 2020년 ~ 2021년 동안 실시하였다. 온라인 양방향 연극교육/ 교육연극에서 신체화의 활성화는 주로 시각과 청각의 자극 및 카메라 앞 몸의 움직임에 의한 상호작용을 통해 가능하였다. 이러한 신체화는 신경미학의 이론과 맥락을 같이하며 미적 체험이 뇌 신경의 자극을 통해 공감의 정서를 일으킨다. 온라인으로 수업을 하더라도 플롯(이야기 구조)을 지니도록 세밀하게, 경험중심 P.B.L(Problem Based Learning)학습에 의해 학습자 중심 참여 수업으로 설계하였을 때, 연극교육/교육연극 수업에서 신체화 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면 수업의 차선책으로 온라인 양방향 실시간 상호작용에 의해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학습자는 신체화 활성화와 수업목표·주제를 역동적으로학습하는 것이 가능했다. 온라인 양방향 연극교육/교육연극 수업은 비대면 수업이 불가피한 사회적 상황에서 신체화 활성화 및 공감을 통한 협력적 소통의 측면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므로 다양한 방식의 온라인 양방향 수업의 개발과 확산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vised and analyzed a teaching model to find out the physical activity and its activation potential of learners in online interactiv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classes. As a research method, theoretical foundations were prepar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structional model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earners were interpreted. Zoom was used as an online two-way teaching platform and was conducted from 2020 to 2021. Activation of physicalization in online interactiv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was mainly possible through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and movement interaction of the body in front of the camera. Such physicalization, like the theory of neuroaesthetics, creates a feeling of empathy through stimulation of the brain's nerves by aesthetic experience. When designing a learner-centered class with experience-based P.B.L. (Problem Based Learning) learning in detail to have a plot (story structure) even when teaching online, it was confirmed that the body was activated in th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class. During the class through online two-way real-time interaction, learners were able to activate their bodies and dynamically learn class goals and topics. Online interactiv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clas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ve communication through physical activation and empathy in a social situation where non-face-to-face classes are inevitab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pread various types of online interactive class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practical and academic dimensions of online interactiv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