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유물론의 관점에서 본, 코로나19와 여성의 몸 교직 양상: 팬데믹 연결망에 대한 벡터 지도 그리기 (Entanglement Between COVID-19 and Women’s Body from a New Materialist Perspective: Drawing a Vector Map of the Pandemic Network)

6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0.12
66P 미리보기
신유물론의 관점에서 본, 코로나19와 여성의 몸 교직 양상: 팬데믹 연결망에 대한 벡터 지도 그리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 사회 / 28권 / 3호 / 189 ~ 254페이지
    · 저자명 : 윤지영

    초록

    이 논문은 비인간 물질성인 바이러스와 그 어느 때보다 긴밀히 얽혀 있는 팬데믹 연결망 속, 여성의 몸의 물질성이 배치되는 양상들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여성의 몸을 탈물질화하고 기표 효과로만 축소하는 언어적 전회의 한계에 대한 비판임과 동시에, 재난의 돌발성과 우연성은 기표라는 담론적 층위에서만이 아니라, 여성의 몸의 실재성을 관통하고 변형시키는 물질적 층위에서 일어나는 것임을 드러내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팬데믹 연결망 속에서 벌어지고 있는 재난 성차별의 여러 양상들을 가정, 사회, 의료라는 세 영역에 걸쳐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분석 방법론으로 레비 브라이언트의 신유물론을 사용하였다. 나아가 이 논문은 팬데믹 연결망을 어떻게 재배치함으로써, 여성에게 있어 종속적인 시공간을 여성의 역능 자장으로 변환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은 팬데믹 어펙트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함으로써, 비선형적 인과성 모델, 즉 단 하나의 원인자로 환원되지 않고 다양한 인자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는 분산된 인과성 모델을 통해 코로나19 사태를 정치하게 분석해내고자 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시대적 급변 양상들은 더 이상 팬데믹 이펙트라는 선형적, 일방적 인과 모델과 즉각적 예측 분석 모형으로는 파악 불가능한 것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 논문은 팬데믹 어펙트라는 인간과 비인간 간의 공동세계 속, 여성의 몸과 비인간 물질성의 재배치가 어떠한 가능성의 지평을 여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at providing an meticulous analysis on the current phenomenon of entanglement between virus and woman's body. This approach consists of criticizing the limits of linguistic turn that reduce woman's body to the simple effect of language and asserting that human-nonhuman assemblage in this pandemic situation is what causes an unprecedented material-semiotic assemblage. I try to establish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on the sex discrimination during this disaster which spans the domestic sphere, the social sphere, and the medical sphere. The framework that I adopt is Levi Brayant's new materialism. Furthermore, this article is to elaborate the way how one transforms pandemic assemblage into a potential and alternative spatial-temporality that fosters women's power.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 propose a new concept that is pandemic affect, or the framework of non-linear causality and distributed causality. Pandemic affect is an alternative and proper notion to understand well this unpredictable situation. This article is to create a new theoretical and practical paradigm that contributes to promote a new form of human- nonhuman assembl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