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몸에 대한 생의학적 개입과 생명정치 (Biomedical Intervention in Human Body and Some Problems on Biopolitic)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4.08
37P 미리보기
몸에 대한 생의학적 개입과 생명정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54호 / 449 ~ 485페이지
    · 저자명 : 이을상

    초록

    근대 정치운동이 몸(즉 생명)을 권리문제에 한정시켜 보는 것과 달리,생명공동체에서 몸은 의료적 차원에서 규정되고, 국가는 의료(의학)를 장악함으로써 국가가 몸을 지배하는 새로운 길을 열었다.
    이와 같이 의학적 지배를 통한 인구/주민의 관리를 푸코는 ‘생명정치’라 불렀다. 그러나 전염병으로부터 생명을 구제하는 ‘관리’만이 정치의 문제는 아니다. 인간은 누구나 ‘보다 나은 삶’을 원한다. 이러한 인간의 원초적 욕구에 부응하여 생겨난 것이 근대의 ‘우생학’이지만, 독일 나치의우생학은 이른바 ‘인종청소’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이로부터 아감벤은 생명정치의 틀 속에서 죽음이 어떻게 관리되는지를 고찰했다.
    이렇게 전혀 다른 역사적 유래를 지닌 생명정치의 이념을 오늘날 포스트게놈 시대에 ‘생명 그 자체’를 정치화하는 데 적용한 사람이 래비노우와 로즈이다. 여기서 생명 그 자체란 ‘유전자’를 가리키는 말이고, 이들은‘인간유전체 연구’로 본격화된 몸에 대한 생의학적 개입이 어떤 새로운생명정치 상황을 만들어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 글은 이러한 생명정치의 변모 과정과 새로운 생명정치의 에토스에 관해 살펴본다.

    영어초록

    In fact, human body is actually a biological-sociological entity, but hastraditionally been treated only as a bearer of “mind” or ‘the self.” From thisconventional viewpoint, human body was no more than a dependent variable.
    Boosted by modern political movements, however, human body came to beunderstood as an independent entity, from which was born the equation that“human body is life.” Unlike the modern political movement that treatedhuman body as an issue of rights, the life-community regarded human bodyas an object of medical management. Finally, the state came to commandmedical science, opening the way for it to occupy the individual body.
    Michel Foucault called such an affair of life in the life-community“biopolitics.” But the issue of biopolitics is not restricted only to a“life-management” that rescues a life from the infectious diseases. Humanbeings wish to live a “better life,” and such human desires have given birthto modern “eugenics.” But Nazi Germany used eugenics as a means ofcarrying out “ethnic cleansing” from which emerged G. Agamben’s“death-politics (tanapolitica).”Based on Foucault’s biopolitics and Agamben’s death-politics are born P.
    Rabinow and N. Rose’s “the politics of life itself,” which is evaluated ashaving opened a new realm of biopolitics in the post-genome era. In the post-genome age that started from the “Human Genome Project” in 1992, a“gene” is life itself. This study has discussed how a gene is treated in thepolitical context and how gene-politics can possibly acquire just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