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 전통에 나타난 몸신학과 현대적 몸의 재해석 (A View on the Body-Theology in Christian Tradition and its reinterpretat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5.02
25P 미리보기
기독교 전통에 나타난 몸신학과 현대적 몸의 재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45권 / 44 ~ 68페이지
    · 저자명 : 김광연

    초록

    전통적 형이상학에서는 본질(essence)에 대한 탐구가 심도 있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세계관은 가시적인 세계와 인간이 경험하고 느끼는 외부 세계를 경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뿐만 아니라 전통 형이상학적 세계꽌에서 개인의 경험과 그 개인이 몸 소 체험하는 자연 대상은 관심에서 배제되었고, 대상과 그 대상을 경험하는 이면에 놓여 있는 본질과 추상적인 실재들에 대해서만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전통적 형이상학을 일부 수용한 기독교 전통도 본질에 대한 관심이 지배적이었고 형이상학적 전통에서 나타난 이분법적 구도를 부분적으로 받아들였다. 특히 이러한 이분법적 구도는 형상과 질료를 통해 대상을 파악하려고 했고, 은연중에 기독교 전통은 영혼(정신)과 육체의 이분법적 구도 속에서 영혼의 우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자연스레 영혼의 탁월성과 육체의 죄성을 강조되다 보니, 기독교 전통에서 행해졌던 몸 신학(body-theology)은 육체의 죄성을 강조하고, 영혼의 탁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인간의 육체성과 우리가 더불어 살고 있는 세상은 남겨두고 떠날 소멸될 존재 즉, 몸과 자연은 세속적 가치로 규정되고 이러한 이분법적 구도에서 결국 자연의 책임에 대한 인간의 방임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먼저 영혼과 몸의 이원론 즉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이분법적 구도에 나타난 영혼의 우월성에 대한 비판과 육체성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몸신학을 살펴볼 것이다. 그 후 타자와 함께하는 주체성으로서의 ‘나’에 대한 이해와 세계에의 존재로서의 몸 주체(body self)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고, 이 몸 주체가 가지는 함의 곧 몸 주체와 그 주체가 경험하는 대상으로서의 자연(환경)의 중요성을 논의할 것이다.
    끝으로 이 글의 궁극적 목적은 이분법적 구도 속에서 이해되었던 몸신학(bodytheology)의 재해석과 이를 통해 신체는 경험의 주체이고, 신체가 경험하는 타자로서의 자연에 대한 이해와 책임성을 강조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그리고 몸과 영혼의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나서, 그 이분법이 초래하는 ‘육체성’에 대한 그릇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는 것이 다음 목표이다. 그러한 이분법적 구조에 대한 반성이 있고 나서, 신체 곧 세계의 존재로서의 몸 주체의 이해와 이 몸이 체험하는 공간(환경)에 대한 중요성, 그 환경이 없으면 신체와 경험 더 나아가 신앙의 자리까지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할 것이다. 끝으로 앞서 논의하게 될 이분법의 비판적 성찰과 육체성의 중요성을 인식한 뒤, 우리가 지향해야 할 성서적 인간 이해를 제시하는 것이 마지막 정착할 곳이다.

    영어초록

    Researches on the essence has been carried out of many aspects in the traditional metaphysics. Albeit such views enrich readers with new perspective, they often passed over the nature in and on which all human being lives and feels. Especially traditional researches in metaphysics few examined about personal experience and the nature that either interacts with or react from it, rather they focused only on the essence and abstract beings that are behind the object itself.
    The Christian tradition which accepted the traditional metaphysics without any question is no exception; it also focused on the essence with dichotomy perspective. As the dichotomic approaches tried to grasp objects with form and material, the Christian tradition also applied same dichotomy interpreting spirit as superior than the body. Such an attitude was expanded into body-theology that emphasized on physical sinfulness and spiritual superiority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such a dual perspective brought the readers to rationalize human responsibility on nature protection on the basis that the nature is gradually being exterminated away.
    On this presumption, this article is designed to reinterpret the body-theology with a new perspective by criticizing the traditional dichotomy explained above. As a continuum, the article tried to reflect on the understanding of self that not only as the one interacts with the others but also body-self as a being in this world. Finally, this paper presented a new image of human, and tried to subjugate dichotomic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First of all, the ultimate of this article was to newly define of the body-theology argues that physical body is the subject of all experiences and it is also human responsible as the ‘others’ of the nature from which all experiences derived. The next goal was to draw out a new recognition about understanding of corporeality (or physicality of human) negatively understood by dichotomy for a long time. with the introspection on traditional dichotomy, this research tried to suggest some points: (1) the body-self is a part of the world, (2) its experiential relation with the nature or environment, (3) without experiences, no human being can live and recover the lost humanity.
    Finally, the research suggested some issues for further study in this area; they include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physical body and its significance, ecology-centric humanity and, integrated ecology interacting with such a human being. From these efforts, the research tried to give an opportunity to reflect what is the right Christian perspective on the human 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