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UX 품질속성에 관한 연구 - ‘K세일데이’ 참가 업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ets of the User Experience in Online Stores - Focusing on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K - Sale Day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6.03
10P 미리보기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UX 품질속성에 관한 연구 - ‘K세일데이’ 참가 업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2권 / 1호 / 53 ~ 62페이지
    · 저자명 : 김영석, 정병국

    초록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웹사이트 접근시 다양한 반응을 받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 경험요소가 작용하게 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이하 UX) 요소 또는 ‘UX 품질속성(Facets of the User Experience)은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Peter Morville(2004)이 제시한 7요소, 즉유용성(useful), 사용성(usable), 매력성(desirable), 검색성(findable), 접근성(accessible), 신뢰성(credible), 가치성(credible)을 온 라인 쇼핑몰에 동시에 적용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UX 품질속성과 관련선행을 고찰하였으며, UX 품질속성은 Peter Morville 이 제시한 내용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에 의한방법을 취했으며, 조사대상 웹사이트는 2015년 K세일데이(11월20~12월 15일)에 참가한 11개 온라인 쇼핑몰로 정했다. 그리고 설문지 대상자는 서울과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남녀 정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2016년 1.4~1.15일까지 12일 간이었다. 설문항목은 각요소별로 3개의 세부항목으로 설정하였는데(총 21개항목), 분석기법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1개 온라인 쇼핑몰의 웹사이트에서 7개UX 품질속성 중 신뢰성, 매력성, 가치성이 5점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요소는 4점대로 나타났다.
    따라서 K세일데이 기간에 참가한 9개 온라인 쇼핑몰의 웹사이트는 신뢰성, 매력성, 가치성에서 ‘대체로 그렇다’의 정도이며, 유용성, 사용성, 검색성 및 접근성은 ‘보통이다’의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웹사이트 UX 요소에 대한두 가지 전략을 설정할 수 있다.
    첫째, 신뢰성, 매력성, 가치성을 UX 품질요소 중 핵심역량요소로 설정할 수 있다.
    둘째, 유용성, 사용성, 검색성 및 접근성은 앞으로개선해야 할 관리 집중요소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한 웹사이트에서의 UX 품질속성들 중에서 우선순위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디자인에대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만 자료수집 대상자와 연구 대상 표본설정이제함됨으로써 전체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을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혀 둔다.

    영어초록

    Users get various reactions when visiting a website, and at this moment user experience element affects. According to preceded studies, user experience (UX; User eXperience) element or facets of the user experience is presented variously.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ven elements that Peter Morville(2004) suggested, such as usefulness, usablility, findability, accessibility, credibility, value by applying them in online shopping malls. This study proceeds with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The literature research considers the facets of the user experience and related precedence studie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facets of the user experience use the seven elements by Peter Morville. Survey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the target websites are eleven online shopping malls that participated in K-sale day(November 20th to December 15th, 2015). And the target for the survey is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the period for data collection was from January 4th, 2016 to January 15th, 2016, for 12 days. The survey has three detailed items for each element(21 items in total) and analysis of frequency was chosen for the analysis method. The research shows for the eleven online shopping mall websites credibility, desirability, and value are above five points, and other elements are around four points. Therefore, the eleven websites are 'fine' for credibility, desirability and value and 'so so' for usefulness, usablility, findability, and accessability.
    Two strategies are settable for the user experiment element by the result. First, credibility, desirability, and value are settable for core ability element. Second, usefulness, usablility, findability, and accessability are settable for manage-needed element that needs to improve. This study can be a useful guideline for website design based on user experience by understanding the priority among facets of the user experience in online shopping malls. There might be a limit of representing characteristic of all online shopping malls due to the restriction of the specimen for data and exa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