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학교육과정 초기의 공감교육: 의과대학과 장애인종합복지관의 공동 교과목 개발과 시행 경험 중심으로 (Empathy Education in the Early Stage of Medical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Joint Course between a Medical School and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5.03
26P 미리보기
의학교육과정 초기의 공감교육: 의과대학과 장애인종합복지관의 공동 교과목 개발과 시행 경험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발달장애학회
    · 수록지 정보 : 발달장애연구 / 29권 / 1호 / 251 ~ 276페이지
    · 저자명 : 안준무, 최미영, 이은정, 유은일, 김희정, 권용진, 이로미, 이승희, 손호준

    초록

    본 연구는 의과대학 교육과정 초기인 의예과시기에 학생들의 사회적 공감능력을 향상을 목표로 새롭게 설계 된 ‘사회와 의료현장에서의 리빙랩’ 교과목의 개발 및 실행 경험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교과목 은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과 상호협력하여 설계하였으며 의과대학 학생들이 발달 장애인을 포함한 지역사회 구 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감 능력과 사회적 책임감을 체득하도록 설계되었다.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한 혼합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교과목 개발 및 운영 과정에서의 주요 성과와 도전 과제를 심층적으로 분 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장애 관련 태도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발달 장애인과의 일대일 상호작 용을 통해 공감의 중요성을 체득하였으며, 장애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과 부정적 태도가 유의미하게 완화되었 다. 또한, 교과목의 운영은 학생들에게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의료현장에서의 윤리적이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제한된 활동 시간과 학생 참여도 부족 등 개선해야 할 점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활동 구조의 체계화, 사전 교육의 강화, 매칭 활동의 확대, 평가 방법의 다 각화 등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공감교육이 의학교육 초기 단계에서 필수적임을 강조하며, 향후 유사 프로그 램의 설계 및 운영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의료인의 윤리적 책임감과 사회적 기 여도를 높이고, 의료 분야에서의 공감과 협력의 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outcomes of the newly designed “Living Lab in Society and Medical Field” cours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imed at fostering empathy in premedical students. The course was structured to enable students to cultivate empathy and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community members, includi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ploying a mixed-methods research approach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the study investigated key achievements and challenges encountered during the course'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while objectively examining changes in students’ attitudes toward disabiliti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tudents internalized the importance of empathy through one-on-one interactions with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ignificantly reducing psychological distance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se individuals. Additionally, the course offered students valuable learning experiences that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and emphasized ethical and social responsibilities in the medical field. However, certain limitations, such as time constraints and insufficient student engagement, were identified, leading to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including restructuring activities, enhancing preparatory education, expanding matching opportunities, and diversifying assessment method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mpathy education in the early stages of medical education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imilar programs in the future. Such initiative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ethical accountability and social contributions of medical professionals while promoting a culture of empathy and collaboration within the healthcare se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달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