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빌리티텍스트에 나타난 다성적 목소리와 젠더투쟁-모빌리티와 임모빌리티 사이를 횡단하는 여성서사- (Polysexual Voices and Gender Struggles in the Mobility Text -A Female Narrative Crossing between Mobility and Immobility-)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2.11
19P 미리보기
모빌리티텍스트에 나타난 다성적 목소리와 젠더투쟁-모빌리티와 임모빌리티 사이를 횡단하는 여성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 / 96호 / 213 ~ 231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본고에서는 일본의 근대초기로 한정하여 기존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삭제된 타자, 특히 ‘여성저자’의 ‘모빌리티텍스트’ 속에서 여성이 여성화되는 과정, 즉 여성 욕망의 억압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다성적 목소리와 젠더투쟁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메이지기 히구치 이치요의 『십삼야』와 시미즈 시킨의 『깨진 반지』, 다이쇼기 다무라 도시코의 『그녀의 생활』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여주인공들은 모빌리티 역량에 따라 자유연애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인 반면 결혼제도에는 저항하면서도 숙명적으로 받아들이는 모습이 관측되었다. 또한 이혼제도는 모빌리티 역량과 자본 등의 인프라 구축, 부모의 승인 없이는 불가능했기 때문에 여성들에게 불리하도록 작동되었다. 『십삼야』의 오세키는 ‘자아를 상실’함으로써 ‘젠더에 갇힌 임모빌리티의 삶’, 『깨진 반지』의 ‘나’는 ‘자아를 획득’함으로써 ‘자각적인 모빌리티의 삶’, 『그녀의 생활』의 마사코는 ‘자아를 상실’하여 성별역할분업과 모성을 내면화함으로써 가사와 육아의 담당자가 되는 ‘임모빌리티의 삶’을 살게 되었다. 그렇지만 마사코는 ‘자아를 획득’하여 타자를 이해‧인정하려는 의미에서 ‘사랑’으로 모든 것을 극복‧승화시키는 방법으로 ‘자아실현’을 꾀함으로써 ‘자각적인 임모빌리티의 삶’을 살 것임을 의미한다. ‘모빌리티’와 ‘임모빌리티’를 횡단하는 여성의 ‘자아획득과 상실은 고정 또는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인 연속과 비연속의 반복임을 알 수 있었다. 그와 더불어 여성저자의 ‘모빌리티텍스트’ 속에서 여성들 사이에서도 ‘차이’와 ‘층위’가 서로 다른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음을 발견해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olyphonic voice and gender struggle associated with the repression of female desire, which refers to the process of feminization of women in the 'mobility texts' created by 'female authors' in which there are numerous voices of women as the 'others' who have been neglected in previous studies on novels conducted in early modern Japan. This study analyzes the Meiji period novels “Thirteen Nights” by Higuchi Ichiyo, “The Broken Ring” by Shimizu Shiking, and “Her Living” by Tamura Toshiko from the Taisho period. Heroines accepted free love on a case-by-case basis, based on their mobility, and reluctantly accepted the institution of marriage, despite their hostility to it. At that time, the divorce system was unfavorable to women, as it was hard for a woman to divorce her spouse without the building of infrastructure, such as mobility or cash, and parental agreement. I came to pursue a 'life of self-conscious mobility' by accomplishing the 'acquisition of ego', whereas Oseki experienced a 'life of immobility constrained by the concept of gender norms' through 'ego loss' Masako lived a ‘life of immobility’ in which she was responsible for housework and child care after internalizing gender stereotypes and maternal responsibilities and ‘lost her ego’. Then, she attained the 'acquisition of ego' in the 'life of immobility' and chose 'self-realization' as a means to overcome and sublimate all with 'love' in the spirit of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other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cquisition and loss of ego' of women through 'mobility' and 'immobility' is neither stable nor immutable, but rather a cyclical repeat of fluid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