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국인 교환학생 대상교양한국어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세종대학교를 중심으로 ―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General Education Courses for Foreign Exchange Students at Sejong Universi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4.06
25P 미리보기
외국인 교환학생 대상교양한국어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세종대학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98권 / 205 ~ 229페이지
    · 저자명 : 장현묵

    초록

    본 연구는 세종대학교를 중심으로 외국인 교환학생 대상 교양한국어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환학생의 현황 파악과 대학의 교양한국어 개설 양상을 분석하고 교환학생 대상 교양한국어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최근 교환학생이 코로나19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다양한 국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대학에서 교환학생을 고려한 교양한국어 교과목을 개설하지 않았으며, 일반 유학생의 목적에 맞춘 교양한국어 교과목 중 기초 또는 초급의 수업에 대해 교환학생의 수강을 유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환학생의 차별화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교환학생과 일반 유학생의 교양한국어 요구와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환학생 대다수가 기초 또는 초급 수준으로 한 단계 정도의 숙달도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실용적인 한국어 능력 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그리고 현재의 교양한국어 교과목에 대해 수업 시수가 충분하지 않고, 수업이 기대하는 바와 달라 수업이 내용이 어렵고 흥미롭지 않다고 느끼고 있었다. 또한 교환 기간 동안 한국 생활과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체험하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특히 한국 학생과의 교류를 통해 실제적인 대학 생활을 경험하고 한국어 의사소통 기회를 얻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환학생 대상 교양한국어 교과목 개발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일상생활과 대학 생활의 실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 집중적인 한국어 함양을 목표로 내용이 구성되어야 하며 시수를 확대하여 단기간의 집중적인 학습을 도모해야 한다. 둘째, 일상생활 전반의 문화적 지식을 고려한 수업 내용을 구성하고 주요한 한국의 전통 문화를 체험하는 활동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목과 연계된 언어 교환 프로그램과 동아리 활동, 공동 프로젝트 등을 구성하여 교환학생들이 실제로 한국어를 사용하고 한국 학생들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교환학생 대상 교양한국어 교과목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일반 유학생과 차별화된 교환학생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lective Korea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exchange students at Sejong University. To this edd, the current status of exchange students was examined, patterns of Korean language general education courses offered at universities were analyzed, and the demands for Korean language general education courses among exchange students were elicited. This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exchange students has recovered to pre-COVID-19 levels and that the students come from a variety of countries. It was also found that most universities do not offer Korean language general education courses specifically for exchange students, but instead encourage exchange students to enroll in basic or beginner courses designed for general international students. Additionally, to understand the distinct needs of exchange students, their demands for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language general education cours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general internationa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exchange students at the basic or beginner level aimed to improve by one level with a focus on practical Korean language skills. They felt that the current Korean language general education courses did not offer sufficient class hours and found the content difficult and uninteresting. Furthermore, the exchange students expressed a strong desire to deeply understand and experience Korean life and culture during their stay, particularly by interacting with Korean students to experience real university life and gain opportunities for Korean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general education courses for exchange students: First, the content should focus on practical aspects of daily and university life, expanding class hours for intensive short-term learning. Second,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activities that allow practical learning and experiencing Korean culture and incorporating traditional cultural experiences. Thir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programs that facilitate language exchange, club activities, and joint projects with Korean students to provide exchang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use Korean and build networks with Korean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general education courses for exchange students an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xchange students compared to general international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