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빠알리어 시제에 관한 『깟짜야나 문법』과『목갈라나 문법』의 규칙 분석 (An Analysis of Grammatical Rules for Kaccāyana-Vyākaraṇa and Moggallāna-Vyākaraṇa with reference to Pāli Tens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7.12
38P 미리보기
빠알리어 시제에 관한 『깟짜야나 문법』과『목갈라나 문법』의 규칙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1호 / 139 ~ 176페이지
    · 저자명 : 김서리

    초록

    본 연구는 대표적인 빠알리어 전통문법서인 『깟짜야나 문법(KV)』과 『목갈라나 문법(MV)』이 동사의 시제를 어떻게 다루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련된 문법규칙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V와 MV 모두 빠알리어 시제를 3종의 과거, 현재, 미래 이렇게 총 다섯 가지로 동일하게 구분하지만, 전개방식에 있어서 KV는 각 시제의 정의와 해당 시제 어미를 다른 규칙으로 분리해서 다루고, MV는 한 규칙으로 묶어 제시한다.
    둘째, 두 문법서가 제시하는 시제의 용어가 그 시제를 정의하는 핵심단어라는 점은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 과거시제의 일반적인 용어로 KV는 atīta를, MV는 bhūta를 사용하고, 세 가지 유형으로서의 과거시제 용어도 같지 않다. 현재시제의 용어로 KV는 paccuppanna를, MV는 vattamāna를 사용한다. 미래시제의 용어로 KV는 anāgata를, MV는 bhavissati를 사용한다.
    셋째, 두 문법서는 규칙의 간결성을 위해 시제 어미군의 용어를 사용하는데, KV가 ajjatanī, hiyyattanī, parokkhā, vattamānā, bhavissantī와 같이 그 시제를 의미하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MV는 ī-ādayo, ā-ādayo, a-ādayo, tyādayo, ssatyādayo와 같이 시제 어미군의 첫 어미에 ‘ādi’를 결합한 실용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넷째, 시제 어미군의 활용범위에 대해 KV는 해당 시제만 제시하는 반면, MV는 화자의 의지에 따라 시제 간에 시제 어미들을 바꾸어 사용하는 ‘시제불일치(kālabyattayo)’의 경우와 시제와 관계없는 문장 내 활용의 경우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analyse the grammatical rules for Kaccāyana-Vyākaraṇa(KV) and Moggallāna-Vyākaraṇa(MV) with reference to Pāli Tense. KV presents 10 rules related to tense in a chapter called ‘ākhyāta-kappa’ and MV does 6 rules in a chapter called ‘chaṭṭho kaṇḍo’.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ose rules, the following points are observed: Firstly, with regard to the arrangement of the related rules, KV deals with the tense suffix separately from the definition of tense in different rules, while MV deals with the tense suffix together with the definition of tense in one rule. Despite the different arrangement of the rules, both KV and MV classify Pāli tense into five kinds, viz., three past tenses, one present tense, and one future tense.
    Secondly, in respect of the technical term for a tense, both KV and MV use significant word conveying the meaning of a particular tense. The terms that those grammars use are as follows. For the general terms of past tense, KV and MV use atīta and bhūta, respectively. For the terms of three types of past tense, ajjapabhuti atīta(past tense beginning with today) in KV corresponds to bhūta(general past tense) in MV; hiyyoppabhuti atīta(past tense before yesterday) in KV corresponds to anajjatana bhūta(past tense except today) in MV; and apaccakkha atīta(past tense beyond speakers’ perception) in KV corresponds to parokkha bhūtānajjatana(past tense beyond speakers’ perception except today) in MV. KV and MV use the term paccuppanna and vattamāna to denote the present tense, respectively. And KV and MV use the term anāgata and bhavissati to denote the future tense, respectively.
    Thirdly, both KV and MV use the technical term of the tense suffix for the sake of concise and efficient expression. The terms that those two grammars use are as follows. KV provides the terms ajjatanī, hiyyattanī, parokkhā, vattamānā, and bhavissantī for the group of tense suffixes, implying the meaning of each tense. Unlike KV, MV provides the terms ī-ādayo, ā-ādayo, a-ādayo, tyādayo, ssatyādayo for the group of tense suffixes, by joining the initial suffix of the particular suffix group to the functional word ‘ādi(beginning with, and so forth).’ Fourthly, with respect to sphere of application for the tense suffix, KV presents the application of those, limiting the related tense only, while MV presents wider application of those such as the contrariety or change of time(kālabyattayo) and the use in a sentence that is irrelevant to te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