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토-다치아(Geto-Dacia)의 잘목시스(Zalmoxis) 신앙과 불멸에 대한 관념 (Concepts of Immortality Taught by Zalmoxis in Geto-Daci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07.06
36P 미리보기
제토-다치아(Geto-Dacia)의 잘목시스(Zalmoxis) 신앙과 불멸에 대한 관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유럽발칸학 / 9권 / 1호 / 177 ~ 212페이지
    · 저자명 : 이호창

    초록

    잘목시스에 관한 거의 모든 연구는 기원전 5세기의 역사가 헤로도토스의 저서 Istoria 역사 IV권의 93-96장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헤로도토스는 잘목시스의 행적과 불멸에 대한 그의 가르침을 피타고라스의 개인적 행적이나 피타고라스 교단의 영적 조망과 구조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착각하여 잘목시스를 피타고라스의 노예였다가 해방된 자로 기록하였다. 헤로도토스가 역사를 집필할 그 즈음에 그리스, 이탈리아, 다뉴브 강 하류 등지에는 잘목시스와 마찬가지로 영혼이 불멸한다는 사상을 전파하던 밀의종교들이 퍼져 있었는데, 그들은 디오니소스-자그레우스의 신화를 사상적 바탕으로 삼고 있던 오르페우스 밀교와 피타고라스 교단이었다. 때문에 당시의 그리스인들은 잘목시스가 가르쳤다는 ‘불멸’을 단순히 피타고라스 교단이 전수한 ‘영혼불멸론’과 같은 개념이었을 것으로 오해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피타고라스를 정점으로 하는 그리스 밀의 종교에서는 인간의 영혼이 본래 우주 창조의 근원인 절대영혼과 하나였지만 분화되 나와 독립된 개체가 되었다고 믿는 반면, 잘목시스의 가르침에서는 ‘인간’과 ‘인간의 삶의 터전인 대자연’과 ‘대자연의 질서 법칙을 관장하는 우주 창조의 근원’이 하나의 유기체라는 관념을 가지고 있었던 걸로 추정할 수 있다. 인간이 우주 창조의 근원에서 각각 홀로 분리되어 나온 독립적 개체가 아니라 대자연과 함께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有機體 organism)에 속하는 아주 작은 기관(器官 organ) 중 하나라고 가정하면 보면 인간은 곧 우주 창조의 근원과 같은 생명을 나누는 것이기에 우주 창조의 근원이 생명을 다하기 전까지는 결코 죽지 않는 존재가 되는 것이다. 인간이 죽음을 끝이라고 의식하는 것은 대자연을 인간과 한 몸이 아니라 나와는 별개인 이용물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면서 스스로 우주 창조의 근원과도 소통을 단절시켰기 때문에 생겨난 것일 뿐이다. 자연계의 모든 생명은 모습만 사라질 뿐 그 존재의 본질 자체는 항상 자연계의 일부로 언제나 남아 있다. 잘목시스가 가르친 ‘불멸’이라는 것이 바로 이런 개념의 불멸이 아니었을까 추정된다. 아직까지는 잘목시스 신앙의 비밀이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잘목시스 신앙은 그리스의 밀의종교들보다 한 층 더 성숙된 신앙이었고, 상생의 정신을 고취시킨 신비하고 역동적인 참된 영적 신앙이었을 것이다. 잘목시스의 사상은 제토-다치아의 후손들인 루마니아 인들의 정신세계나 문화 속에 남겨져 있는 그 흔적들을 철저히 찾아내어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때 비로소 제대로 밝혀질 것이다. 만약 잘목시스의 가르침이 문자로 전수되었다면, 소크라테스의 철학이나 불교의 가르침 노자, 장자의 도교 못지않은 위대한 사상으로 남아 전 인류의 영적 성숙에 지대한 영향력을 주었을 지도 모른다.

    영어초록

    Herodotus was told by the Euhemeristic Pontic Greeks that Zalmoxis was really a man, formerly a slave(or disciple) of Pythagoras, who taught him the "sciences of the skies" at Samos. Zalmoxis was manumitted and amassed great wealth, returned to his country and instructed his people, the Getae, about the immortality. Zenon reiterates the idea that Zalmoxis was Pythagoras' slave. However, Herodotus, who declines to commit himself as to the existence of Zalmoxis, expresses the opinion that in any case Zalmoxis must have lived long before the time of Pythagoras. According to Herodotus, at one point Zalmoxis traveled to Egypt and brought the people mystic knowledge about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eaching them that they would pass at death to a certain place where they would enjoy all possible blessings for all eternity. Zalmoxis then had a subterranean chamber constructed (other accounts say that it was a natural cave) on the holy mountain of Kogaion, to which he withdrew for three years (some other accounts considered he actually lived in Hades for these three years). After his disappearance, he was considered dead and mourned by his people, but after three years he showed himself once more to the Getae, who were thus convinced about his teachings: an episode that some considered to be a resurrection. Plato says in the Charmides dialogue that Zalmoxis was also a great physician who took a holistic approach to healing body and mind; not just the body, as was the Greek practice.
    In my opinion, Zalmoxis was a great philosopher who taught that gods and nature and human being are connected like one organism. Descendants of Geto-Dacia, Romanian people inherits doctrine of Zalmoxis. For instance, the Romanian spirit is synthesized into the masterpiece of the Romanian folk, the poem <Mioriţa, A little lamb>, where a young shepherd is warned by his little white-black lamb, that his fellow shepherds plan to murder him and take his flock. The young shepherd instead of resisting, accepts his fate. This means that death is just a destiny of all of us and it is a transition to nature where we are come from, not a end of existing. Concepts of immortality taught by Zalmoxis in Geto-Dacia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an idea of the young shephe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유럽발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