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9세기 南原 朔寧崔氏家의祭祀 운영 방식 고찰 - ≪先世祭次輪行事目≫을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Method to Manage Ancestor Worship Service in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during the 17th and 19th Centuries - Focusing on Seonsejechayunhaengsamok(先世祭次輪行事目)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5.08
35P 미리보기
17~19세기 南原 朔寧崔氏家의祭祀 운영 방식 고찰 - ≪先世祭次輪行事目≫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7권 / 53 ~ 87페이지
    · 저자명 : 김명화

    초록

    조선시대 제사 운영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자료는 당시 사람들이 남긴 고문헌을 통해서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많이 남아있지 않은 실정이다. 제사는 집안의 사적인 의례 과정으로 세세히 문서를 남겨가며 운영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조선시대 제사 운영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문서는 양반가의 族契·宗契文書이다. 족계·종계는 종족을 중심으로 결집하는 계모임으로 주로 조상에 대한 제사 봉행을 위해 만들어 진다. 이때의 제사는 주로 墓祭를 말한다. 南原 朔寧崔氏의 ≪先世祭次輪行事目≫은 종계의 연장선상에서 만들어진 문서이다.
    따라서 본고는 남원 삭녕최씨의 ≪선세제차윤행사목≫을 검토하여 17~19세기 남원 삭녕최씨의 제사 운영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 事目은 남원 삭녕최씨 通禮公派 중에서도 종손계열인 承旨公 宗中의 제사 봉행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제사 봉행 대상은 落南祖 崔秀雄부터 8세 여덟 형제까지이다. 제사 봉행 방식은 墓祭와 忌祭祀로 나뉘는데 남원 삭녕최씨의 ≪선세제차윤행사목≫에서 나타나는 묘제의 대상은 17세기 중후반 4대조 이내의 조상에서 5대조 이상의 遠祖로 변화하였고, 묘제의 성격은 17세기 중후반 寒食과 秋夕에 대한 節日祭에서 1년에 한 차례 제사지내는 時祭로 변하였다. 이와 더불어 묘제 거행 방식은 17세기 중후반 아들딸 구분 없이 輪行하다가 19세기 초반 宗契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남원 삭녕최씨의 기제사는 17세기 후반 4대 봉사를 아들딸 구분 없이 동등하게 윤행되다가 딸이 제외되고 아들들만이 윤행하는 방식으로 변한다. 이를 통해 주자가례의 수용 이후 나타나는 묘제와 기제사의 거행 방식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처럼 남원 삭녕최씨가의 제사 운영 방식은 17세기 중후반 묘제와 기제사를 자손들이 輪行하다가 이후 세대가 멀어지며 제사의 윤행이 끊어진다. 하지만 19세기 초반에 계속해서 생겨나는 조상의 묘제를 종계 차원에서 봉행하고, 기제사는 8세 여덟 형제의 8계열이 각각의 소종계에서 윤행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영어초록

    The sources for managing ancestor worship service in the Joseon era can be obtained from old documents written in that age. However, there are few sources about it, because ancestor worship service was private ritual process in a house, and therefore it did not need to be written in detail as document. In spite of it, documents to show method for managing ancestor worship service in the Joseon era are Jokkye(族契) and Jongkye(宗契) documents in the Yangban(兩班) class families. Jokkye and Jongjye are credit union groups consisting of families in bloodline and they were mainly composed for conducting worship services to ancestors. This ritual service usually meant worship service to family ancestors. Seonsejechayunhaengsamok(先世祭次輪行事目) of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was composed in the extension of a Jongy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method to manage ancestor worship service in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during the 17th and 19th centuries by reviewing this family's Seonsejechayunhaengsamok. This Samok provides information about ancestor worship services in the family of Seungjigong, the eldest line of Tongryegong sect among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The worshiped ancestors included from Naknamjo Choi Soo-woong to 8 generations of eight brothers. The method of the worship service was divided into memorial service before the grave and that on an anniversary of an ancestor's death. The ancestors worshiped in Seonsejechayunhaengsamok had been great-great-grandparents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and changed to forefathers more than five gener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before the grave had changed from seasonal services in Hansik(寒食) and Chuseok(秋夕)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to an anniversary service once a year. And then, the method to manage memorial service before the grave had been conducted by taking turns regardless of gender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but in the early 19th century it was managed primarily by Jongye. For anniversary worship services in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it had been conducted by taking turns regardless of gender for four generations of forefathers in the late 17th century but it became to be managed by male descendants only excluding female descendants. Through this, after the acceptance of Zhu Xi's Confucian Clan Rules, changes in the method to manage worship service before the grave and that on an anniversary of an ancestor's death were revealed.
    As seen above, the method to manage ancestor worship service in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had changed from taking turns of those before the grave and on an anniversary of an ancestor's death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to being conducted by Jongye for increasing anniversary worship servi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