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적 정보 학습의 인지부하 감소를 위한 모바일 인포그래픽 형식의 개발 (Developing an Infographic Format for the Reader's Reduced Cognitive Burden of Learning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Mobile News Applicatio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2.09
18P 미리보기
과학적 정보 학습의 인지부하 감소를 위한 모바일 인포그래픽 형식의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21권 / 3호 / 41 ~ 58페이지
    · 저자명 : 황인혜, 한영애

    초록

    연구배경: 식약처 발행 백신원리 인포그래픽은 백신의 안전성을 전달하고 접종을 독려하는 용도로 제작되었으나, 정보를 너무 단순화하여 백신으로 인체에 주입되는 성분과 항체의 역할에 대한 정보를 부정확하게 전달하고 있으므로, 백신의 원리를 왜곡한 가짜뉴스를 접한 독자들이 스스로 가짜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수준으로 독자들을 교육시킬 수 없다. 또 현 인포그래픽의 가로로 넓은 디자인은 모바일 뉴스 앱에서 그림을 확대하여야만 글과 시각요소의 가독성이 확보된다.
    연구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확하고 충분히 백신원리를 전달하는 개선 인포그래픽을 제작하되, 모바일 뉴스 앱에서 늘어난 정보량이 야기하는 인지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디자인을 찾는 목적으로 3종의 다른 디자인(가로형/세로형/슬라이드쇼)으로 제작하였다. 이후 온라인 설문조사로 실시된 실험에서는 20대 남녀 300명을 피험자로 모집하여 대조군인 식약처 인포그래픽과 실험조건 1·2·3인 개선 인포그래픽의 효과를 5개의 가설을 검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 결과, 3종의 실험조건 디자인은 모두 피험자들의 이해도(H1)와 가짜뉴스 식별능력(H2)을 제고하였고 실험조건 2(세로형)로 측정한 이해도 득점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인지적 부담(H3) 중 인지된 복잡도(H3a)·정보량(H3b)·노력(H3c)은 모두 실험조건 3(슬라이드쇼)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또 피험자들은 실험조건 디자인의 정보 유용성(H4)을 식약처 디자인보다 높게 평가하였고, 실험조건 2(세로형)의 디자인을 모바일 환경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선호(H5)하였다. 끝으로 이해도(H1 & H2)와 정보의 유용성(H4)에서 성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결론 : 정부발행 인포그래픽은 다수 국민이 정보를 접하는 맥락, 시각화된 정보의 이해 과정과 이해도, 가짜뉴스 판별 등 정보 습득의 목적, 인지적 부담을 고려하여 정보량과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모바일 뉴스그래픽으로 제작하는 경우 정보량을 고려하여 세로형 그래픽 혹은 슬라이드쇼 형식이 피험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 Korean MFDA-issued infographic “How the COVID-19 Vaccine Works” is an expository diagram of a biological process, published to encourage people to trust vaccine safety and get vaccinated. Nevertheless, the information is too insufficient to accurately explain what is injected with the vaccines and exactly how they work. Moreover, the graphic’s wide aspect ratio diminishes it on vertical, small screens such as mobile phones.
    Methods : In response, we propose alternative infographics designed with more accurate and sufficient information, to enable the readers to recognize disinformation on vaccines when they see it. Alternative graphics were designed in different aspect ratios—Exp1(wide), Exp2(tall), and Exp3(slideshow)—to find out the most effective design that can (1) reduce the readers’ cognitive load caused by lengthy information in the alternative graphics, and (2) be effectively displayed as part of mobile news articles. The effectiveness of the infographics was tested in an online survey with 300 participants, by testing five hypotheses.
    Results : The analysis of data shows that the alternative designs significantly improved the participants’ comprehension(H1) and disinformation discernment(H2) scores. The Exp3(Slideshow) design caused the least cognitive load measured in perceived complexity(H3a)·information length(H3b)·effort(H3c). Participants rated the usefulness of the revised information higher(H4) than the current one, while preferred the Exp2(tall) design the most as a mobile news graphic(H5). Gender differences exist in the participants’ comprehension(H1 & H2)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information(H4).
    Conclusions : Infographics for the public should be composed and designed considering the context where the readers see them, how the readers comprehend them, the goal of communication such as recognizing fake news, and the readers’ cognitive load. An expository diagram published as a mobile news graphic can benefit from a tall aspect ratio design that supports the reader’s serial information processing, or a slideshow design if it contains lengthy in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