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 차별의 기제와 특징을 중심으로 (Social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Unwed Mother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3.06
35P 미리보기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 차별의 기제와 특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젠더와 문화 / 6권 / 1호 / 7 ~ 41페이지
    · 저자명 : 김혜영

    초록

    급속한 사회변동으로 한국인의 가족의식과 가족형태 역시 변화하고 있는데, 이는 친밀성이나 섹슈얼리티의 변화를 함축하는 것이다. 실제로 결혼 및 출산을 미루거나 회피하는 경향이 증가해 왔으며, 한부모나 다문화가족 등 가족형태의 다양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여전히 결혼제도 내의 출산만을 합법적인 것으로 인정하는 사회분위기로 인해 혼인제도 밖의 출산이나 자녀양육은 부정시되는 경향이 유지되고 있다. 특히 혈통에 기반 한 가족주의와 이중적 성규범은 미혼여성의 임신과 출산을 성과 가족규범에 대한 도전이자 일탈로 규정하고 있다.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편견은 미혼모와 그들 자녀의 존재를 비가시화시켜 왔으며, 그 결과 우리사회는 미혼모에 대한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미혼모가족의 차별 기제로서 가족주의와 이중적 성규범에 주목하고, 부계혈통 중심의 가족주의와 남성 중심의 성문화가 어떻게 미혼모가족을 타자화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배우자 없이 혼전에 자녀를 출산·양육하는 미혼모들은 경제적인 어려움이외에도 가족과 이웃, 학교, 직장으로부터 다양한 배제나 차별을 경험한다는 점에서 이들의 차별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는 다양한 사회적 차별에도 불구하고 자녀출산과 양육을 감행함으로써 기성 가족문화의 변화와 균열을 추동하고 미혼모가족의 이중적 특질에 주목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many difficulties unwed mothers have experienced in terms of the Korean value system, familism and the double standard of sexuality. The exact number of unw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is unknown: the reason for this originates from the social norm that legitimizes pregnancy and childbirth only through the legal relation “marriage”. Sexual experience and childbirth by unmarried couples are considered to be a serious matter that brings disgrace especially to women and family. This is because of familism and sexual norms. Single mothers are branded as offenders in the sense that they disobeyed the sexual norms and gave birth outside of the sacred marriage system, which solely provides legitimacy. This condemnation not only intimidates single mothers psychologically, but also makes them feel separated from society. Nevertheless, the number of unwed mothers is currently increasing, and the child rearing ratios of single mothers are growing as well. Especially as unwed-moms who choose to rear children on their own increase, there have appeared signs of change: cracks in the familism and sexual no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