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urrogacy Agree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3.02
19P 미리보기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법논집 / 37권 / 1호 / 161 ~ 179페이지
    · 저자명 : 한삼인, 김상헌

    초록

    대리모계약은, 체외수정을 통한 출산대리모의경우 시술 상의 어려움과 비용부담이 크긴 하지만일단 성공하면 불임부부 양쪽의 유전자를 가진 아이를 얻을 수 있다는 매력으로 동양사회에서도 대리모계약의 체결은 앞으로 더욱 많아질 추세이고,우리 사회에서도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관계로 이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으나, 과연 그러한 논의가 새로운 법리의 제시라는 미명 하에우리 사회의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 질서와 동 떨어지는 것은 아닌가라는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없다. 또한 대리모계약 체결 후 대리모가 긴 임신기간 동안 형성된 아이에 대한 애정에 기인하여자의 인도를 거부하는 경우까지 있음을 살핀다면,과연 계약법적인 문제로만 접근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검토 또한 필요하다고 할 것이므로, 이러한 관점에 여성을 단순한 출산도구로 사용하는지 여부에 관한 윤리적 문제 및 여성 인권적 측면을 더하여 그 유효성 여부를 고찰한다.

    영어초록

    As the contemporary society is going under rapid transition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legal issu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complex, indicating that the current legal application will not be sufficient to bring about resolution apt to the current world.
    Assessment on a legal issue not only requires existing legal principles but also new principles that a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insight about the fundamental issues bearing on social phenomenons.
    Based on such rational standard for resolutions, changes in laws and precedents in regard to changing one’s gender after sex change, keeping a child’s family name upon his or her parent’s remarriage and organ transplants from brain-dead patients. Such changes indicates the need from discussions about jus sanguinis and other basic principles, requiring various theories thereto. There is no denying that a principle that could aptly solve issues in line with the changes in the society is required.
    However, as for the issue of hired-surrogates, such an issue is at odds with the good customs and other social orders under the pretext of providing new legal principles. In particular,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the surrogates themselves might refuse to hand over the new-born child due to the emotional attachment formed in the course of pregnancy, the review on whether such an issue can be handled from legal contract point of view is also required.
    Hired-surrogates using artificial fertilization have the advantage of adjusting women’s birth decisions and period and thus contributed to improving opportunities for women themselves to commit themselves into working. However, hired surrogates under the capitalism also wreaked threats to dignity of motherhood and it is still undecided who should divide the welfare of new-born children. In particular, all of the surrounding phenomenons are against the good customs and other social orders and thus there are limits to applying the discussions on the surrogates in the western world. A good example would be the fact that Japan, also a nation of Asian Culture, has not yet created legal provisions which recognizes hired-surrogates.
    Therefore, in principle such hired-surrogates should be deemed invalid, however, from a legal policy point of view, a relevant provisions must be established that recognizes hired-surrogates as adoption not as a consequence of parental decision from a limited legal point of view, as long as those contracts are not of commercial and are for only those parents who can not have child. As foreign nations recognizes unilateral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upon surrogate’s decision to not deliver one’s new born infant as a prerequisite of the contract, such similar conditions must be set forth.
    In conclus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family law which is in support of birth-orientation, deeming surrogates as mothers complies with the women’s right and in order to recognize the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the contract should take the form of adoptions and the welfare of the child can be protected by separating legal bindings with his or her original par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법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