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6년 중재법상의 중재판정의 효력에 대한 몇 가지 의문과 별소의 심급 제한 (Some Questions on the Effect of an Arbitral Award and Restriction of Trial Level in Other Separate Actions Under the 2016 Korean Arbitration Ac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12
31P 미리보기
2016년 중재법상의 중재판정의 효력에 대한 몇 가지 의문과 별소의 심급 제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재연구 / 27권 / 4호 / 3 ~ 33페이지
    · 저자명 : 윤진기

    초록

    이 논문은 중재판정의 효력과 관련하여 그 동안 논의되었던 쟁점들을 살펴보고 몇 가지 의문에 대하여 검토하는 한편, 2016년 중재법 개정으로 중재판정에 취소사유가 있을 때 가능해진 별소의 심급을 제한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2016년 중재법에는 중재판정에 취소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제35조 단서에 의하여 기판력이 배제됨으로서 중재판정 취소소송에서 소의 이익이 없기 때문에 중재판정이 취소사유가 있더라도 중재판정 취소의 소가 제기되기 어렵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다만, 취소사유가 있는 중재판정이 그 외관을 제거하기 위하여 취소소송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무효판결의 재심 가능성에 대한 판례의 태도를 보면, 판례는 취소사유가 있는 중재판정의 외관을 제거하기 위한 중재판정 취소소송이 어렵다는 입장에 설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학설은 여전히 견해가 나뉘고 있어서 이에 대해서는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중재판정에 취소사유가 있는 경우 그 중재판정이 형식적 확정력이나 기속력을 가지지 않는다는 해석이 가능하며, 설사 형식적 확정력이나 기속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별개의 소제기가 가능하게 되어 제36조 제1항의 중재판정 취소소송의 존재의의가 축소되었다.
    2016년 중재법 개정은 우리나라에서 중재판정 취소소송의 지위나 역할을 다시 한번 검토하는 계기를 제공하였으며, 법에 의해서 가능해진 별소를 효율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별소의 심급 제한은 중재절차를 사실상 4심에서 3심제로 만들어 주어, 중재를 활성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입법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별소의 심급을 항소심으로 하면 중재와 소송의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고, 그 동안 취소소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제거 할 수 있으며, 적극적인 중재 홍보도 가능하여 중재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some questions and issues of the effect of an arbitral award, and discusses about the restriction of the trial level in other separate actions permitted under the existence of grounds of setting aside arbitral award after the amendment of the Arbitration Act in 2016. Because there are no interests of litigation in the action for setting aside arbitral award due to the exclusion of res judicata by provisory clause of Article 35, filing an action for setting aside is not allowed even when the grounds of setting aside exist.
    If we examine the precedent on possibility of retrial for excluding the outward form of invalid judgement, we can find that the court did not approve the retrial. Therefore, the action for setting aside that which is for excluding the outward form of an arbitral award will not be allowed for filing. On the issue of whether an arbitral award having a ground for setting aside can be an object of the action for setting aside for excluding its outward form or not, the views of scholars are divided.
    In the case of an arbitral award that has grounds for setting aside,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arbitral award would not have a formale Rechtskraft or effect of sentence (bindende Kraft). Even if there is formale Rechtskraft or effect of sentence (bindende Kraft), the significance of existence of action for setting aside arbitral award under paragraph 1 of Article 36 is reduced because other actions separate from arbitration is permitted under the 2016 Act.
    The amendment of the Arbitration Act in 2016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action for setting aside the arbitral award. It also requires further studies on efficiently treating other actions separate from arbitration. Because the restriction of the trial level of other separate actions can make arbitration active by making arbitration procedures become 3 trial levels from 4 trial levels, it needs to be solved with legislative action. Specifically, if the trial starts at the stage of trial on appeal, it can utilize the strength of both the arbitration and the litigation, playing a chief role in boosting arbitration by removing the problems of action for setting aside and enabling arbitration institutes and the person interested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arbit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