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AI)은 시를 쓸 수 있는가 ― 인공지능 시대에 시-쓰기에 대한 몇 가지 물음 (Can artificial intelligence(AI) write poetry? - Questions About Writing Poetr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09
20P 미리보기
인공지능(AI)은 시를 쓸 수 있는가 ― 인공지능 시대에 시-쓰기에 대한 몇 가지 물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89호 / 7 ~ 26페이지
    · 저자명 : 고봉준

    초록

    이 글은 ‘인공지능(AI)은 시를 쓸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2022년 오픈AI사(社)가 GPT 3.5 기반의 챗GPT 베타 버전을 공개한 이후 ‘인공지능’은 인문학 분야의 화두가 되었다. 특히 챗GPT가 대화형 생성인공지능이라는 점에서, 그것이 인간의 언어와 동일한 ‘언어’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곧바로 문학과의 연관성이 논란의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논란은 챗GPT가 쓴 시집이 출판되고 시인과 챗GPT의 협업이 소개되면서 한층 확산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인공지능은 결코 인간과 동일한 감정을 느낄 수가 없기 때문에 ‘감정/감성’에 기초한 예술작품을 창작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입장과 미학적 수준에서 차이는 있을지언정 이미 인공지능이 예술 작품을 창작할 수 있다는 것은 기정사실이 되었다는 입장 등이 날카롭게 대립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논의는 시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 글은 최근 인공지능과 문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권보연과 김언을 중심으로 현재 인공지능이 시 창작에 제기하고 있는 문제점과 그것에 대한 시인, 비평가의 반응을 살폈다. 권보연은 인공지능이 하는 것은 ‘창작’이 아니라 ‘생성’이고, 따라서 ‘쓰다’보다는 ‘짓다’라는 술어가 더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과정’의 언어와 ‘결과’의 언어가 구분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편 김언은 ‘저자’의 존재를 강조하면서 ‘주인 있음을 지향하는 말’와 ‘주인 없음을 지향하는 말’을 구분한다. 그는 이때의 ‘저자’가 물리적인 차원에서의 ‘필자’와 달리 개성의 주체이며, 시에서 이것은 ‘나의’라는 수식어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장치라고 주장한다. 인공지능의 언어에는 그것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시’로 간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들 외에도 다양한 논자들의 주장을 소개하고 그것들이 지닌 문제를 지적함으로써 ‘인공지능은 시를 쓸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대답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text originates from the question of “Can artificial intelligence(AI) write poetry?” Since OpenAI unveiled the beta version of ChatGPT based on the GPT-3.5 architecture in 2022, the topic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gained attention in the realm of humanities. Particularly, due to Chat-GPT being an interactive generative AI, the immediate connection between AI and literature emerged as it acquires information and communicates through the same ‘language’ as humans. This controversy intensified when a collection of poems authored by ChatGPT was published and collaborations between poets and ChatGPT were introduced. Regarding this phenomenon, there are conflicting viewpoints. Some argue that AI cannot create art based on ‘emotion(sentiment)’ since it cannot experience emotions identical to humans. On the other side, it is already established that AI can create artistic works, al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in aesthetic quality. These discussions are particularly concentrated in the field of poetry.
    This text revolves around the central figures of the recent discour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terature, Kwon Bo-Yeon and Kim Eon, highlighting the issues AI raises in poetry creation and the responses from poets and critics. Kwon Bo-Yeon contends that what AI does is ‘generation’ not ‘creation’, suggesting that the term ‘construct’ is more suitable than ‘write’. From this perspective, he emphasiz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language of process’ and ‘the language of outcome’. Meanwhile, Kim Eon emphasizes the presence of the ‘author’ and distinguishes between ‘speech that advocates presence’ and ‘speech that advocates absence’. In this context, the ‘author’ is not just a physical entity like a ‘writer’, but a subjective agent of individuality. He argues that in poetry, this device grants legitimacy to the qualifier ‘mine’. Since AI lacks this aspect in its language, it is challenging to consider it as ‘poetry’. Throughout this text, various arguments from different scholars are introduced, pointing out the problems they carry, in an effort to address the question, ‘Can artificial intelligence(AI) write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