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캐나다 부부재산제도와 혼인주택(matrimonial home) - 우리나라 부부재산법제에 주는 몇 가지 시사점- (Canada’s Marital Property System and Matrimonial Hom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05
40P 미리보기
캐나다 부부재산제도와 혼인주택(matrimonial home) - 우리나라 부부재산법제에 주는 몇 가지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이화젠더법학 / 13권 / 1호 / 35 ~ 74페이지
    · 저자명 : 이연이, 김제완

    초록

    현행 부부별산제에서는 재산명의자가 배우자 동의 없이 재산을 처분하는 것이 가능하나, 혼인 중 협력하여 이룩한 실질적 공유재산의 일방적 처분은 명의를 가지지 않은 배우자의 지분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부당하다. 경제적 공동체라는 부부의 특성상 혼인재산은 그 명의와 기여도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명의자가 처분권을 가지므로 부부 중 누가 재산 명의를 가지는지가 부부간 경제적 지위와 균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부부가 공동으로 거주하는 주택은 가족생활의 기초가 되는 주택으로서 대부분 가정의 중요한 자산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다.
    캐나다는 가족법상 혼인주택(matrimonial home)의 처분에 배우자 동의가 필요하도록 일정한 제한을 두어 부부재산의 일실을 방지하고 있다. 반면, 우리 법제에서는 민법 제839조 3의재산분할청구권 보전을 위한 사해행위취소권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부부간 실질적 형평을 위해서는 이혼시 균등한 재산분할이 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혼인 중에도 재산명의자가 부부공동재산을 일방적으로 처분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별산제하에서의 재산처분의 자유와 혼인관계의 특수성에서 오는 가족법적 제한을 조화하는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할 것인데, 캐나다 혼인주택 제도에서 나타나는 부부공동재산 법리는 우리 부부재산법제에 여러가지 시사하는 점이 있으며 재산분할청구권 보전을 위한 사해행위 취소권의 운용에도 일응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matrimonial property that a couple has achieved in bilateral cooperation as an economic community during the marriage has the substance of shared property, at least between couples. Under a separate property regime, it is not a problem in terms of property law for a spouse with the title to dispose of a property without the spousal consent, but if the owner unilaterally disposes of matrimonial property, it is against marital equity. In particular, it is unjust to unilaterally dispose of a matrimonial home, regardless of which spouse holds the title, given that the home is occupied as a family residence in their course of regular family life and is the largest asset for most families.
    Canada’s matrimonial home is a system under family law. If a title-holding spouse wants to sell, mortgage, otherwise dispose of an interest in the matrimonial home, the other spouse’s consent is required. In comparison, The Korean Civil Act has established the legal basis for revoking the spouse’s unilateral disposition by recognizing the Right to Revoke Fraudulent Act for Preservation of Claim for Division of Property in Article 839-3. The right to revoke the spouse’s unilateral disposition to preserve the right to claim property division is not just for equalizing property division at the time of divorce. To operate the system effectively, unilateral disposition without spousal consent should be set aside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even if the divorce is not gotten. Suppose we refer to the matrimonial home rules and limit the subject to unilateral dissipation is restricted, that could harmonize rights and obligations arising from the peculiarity of the marital relationship with the freedom of property disposition under property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