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적 감정론에 대한 인지주의적 해석의 몇 가지 문제 (Problems of cognitivist interpretation of the Aristotelian theory of emotion in the Rhetoric)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09
30P 미리보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적 감정론에 대한 인지주의적 해석의 몇 가지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10호 / 25 ~ 54페이지
    · 저자명 : 한석환

    초록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전개된 감정론에서 눈에 띄는 특징은다양한 감정이 일정한 의견, 확신 또는 판단에 의존한다는 가정이다. 이를테면분노의 감정은 어떤 사람이 능멸을 당했다는 믿음에 의존하고 공포의 감정은어떤 사람에게 고통을 가져다줄 것 같은 또는 파국으로 치달을 것 같은 나쁜일이 임박했다는 믿음에 의존한다. 감정을 느끼는 사람이 감정의 형식적 대상과어떤 식으론가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이다. 감정을 느끼는 사람이 감정의 대상, 즉 감정의 원인에 대해 표상을 갖고 있거나 문제의 대상이 주어져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감정이 성립하는 데서 관건이 되는 것은 감정을 느끼는사람이 문제의 대상을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는가 여부이다. 일례로 분노의 경우분노를 느끼는 사람은 자신에게 능멸이 행해졌다고 확신한다. 상대방이 취하는특정의 태도가 자신을 향해 능멸을 표출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정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적) 감정론은 대체로 ‘판단에 기초한 감정이론’ 이나 ‘감정의 판단이론’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그의 감정 이해를 인지주의로 분류하더라도 문제가 없는지 하는 것이 이 논문이 제기하는 물음이다. 인지주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는 대목이 많지만 그런 해석을 방해하거나 어렵게 만드는 대목 또한 없지 않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인지주의적 해석을 유보하게 만드는 세 가지 경우를 검토한다. (1) 아무런 이유도 없이 감정이 누그러지는 경우, (2) 대립하는 관계에 있다고 해서 문제의 두 감정이 항상 배척적인것만은 아닌 경우, (3) 감정에 필수적인 생리적 조건이 추가적으로 있는 경우가분석의 대상이다. 이 논문이 주장하는 테제는 다음이다. 즉 아리스토텔레스의수사학적 감정론을 인지주의로 분류하는 것은 반은 맞지만 반은 틀렸다는 것과, 그런 사달이 생긴 이유는 감정을 이해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독특한 입장 때문이라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the treatment of the emotions in the Rhetoric of Aristotle is the assumption that the different emotions are dependent on certain opinions, beliefs or judgments. For example, anger is determined by the judgment or the belief that it has happened to someone a reduction, fear by the judgment or the belief that a painful or perishable evil is near at hand. The ones concerned by an emotion must be somehow related to the respective object: he must have an idea of the object or must be of the opinion that the object in question is given, or has to perceive the object or has to imagine it, ect. It is essential for the occurrence of the emotion only that the person in question holds the relevant object or state of affairs for granted. In this context, one is tempted to say that the person is convinced that a reduction is present, or judges that a certain behavior constitutes such a reduction. If one formulates the matter in such a way, the Aristotelian approach of a judgment-based emotion or even a judgment theory of emotions would be very close. But here arises a question whether Aristotle represents a so-called cognitivist theory of emotions. Would Aristotle share also the requirements of the judgment theory and of the cognitivist theory? Undoubtedly invites the combination above described of judgments and emotions in the Rhetoric to the opinion that the Aristotelian emotions are cognitive states or are themselves nothing more than a kind of judgment. The emotions of the Rhetoric are of course to be interpreted within the framework of propositional attitudes. But the treatment of the emotions in the Rhetoric also takes into account a number of cases that would be exempt within a purely cognitivist interpretation as incidents: (1) Settlement of an emotion without any reason, (2) Opposite emotions are not all mutually exclusive, and (3) Necessary physiological conditions of emotions. The detailed investigation shows that a cognitivist interpretation of the Aristotelian emotions is right in one sense, misleading in another sense. It is because that Aristotle considers emotions to be the subject of dialectic and natural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