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러므로 문제는 문학이다- 최근 문화연구에 대한 비판적 제언 몇 가지 (Therefore, the Issue Is Literature: A Few Critical Suggestions on Recent Cultural Stud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12
36P 미리보기
그러므로 문제는 문학이다- 최근 문화연구에 대한 비판적 제언 몇 가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32권 / 135 ~ 170페이지
    · 저자명 : 류보선

    초록

    이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와 『허용된 불온』을 꼼꼼히 읽는 것이다. 이 두 권의 책은 1990년대 중반부터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온 문화연구를 집대성한 문제적인 저작이다. 그러므로 이 두 권의 책을 읽는 것은 그간 문화연구가 쌓아온 업적을 점검하고 향후 문화연구의 갈 길을 조망하는 일이 된다.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에서 문화연구를 주도해온 연구자들은 그간 자신들의 연구 성과로 기존의 민족주의-남성-엘리트 중심의 문학사가 배제한 ‘문학들’ 그리고 ‘문화들’을 귀환시키고 ‘복수(複數)의 문학사’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을 꼽는다. 그들의 이러한 평가는 자화자찬이 아니다. 실제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문화연구는 이전의 문학사가 억압해 왔던 다양한 하위문화, 작가, 젠더적 억압 등등의 중요한 요소를 문학사의 영역 안에 끌고 들어왔고, 이러한 호명 덕분에 우리는 한국문학에 대한 새로운 계보학을 정립하게 되었다. 『허용된 불온』은 1990년대 말부터 문화정치학의 한 영역으로 급부상한 식민지 시기 검열제도에 대한 연구를 집대성한 저작이다. ‘쓰고자 했던 것’을 원초적으로 억압한 식민지 시대 검열 기구가 어떤 검열 장치를 작동시켰는지, 그리고 그것 때문에 당대 작가들이 ‘쓸 수 없었던 것’은 무엇이었는지 등등 식민지 시대 검열에 관한 거의 모든 영역을 포괄한다.
    이렇게 한국문학 연구에 의미 있는 지평을 연 90년대 중반 이후의 문화연구는, 그러나 지금 한국지성사의 의미 있는 계보학적 실천으로 자리하느냐 아니면 단지 질서화되지 않은 하위문화들을 의미없이 나열하는 글쓰기로 전락하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다. 그것은 90년대 중반 이후 문화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문학을 바라보는 관점과 관련이 있다. 그들은 ‘문학에서 문화연구’로 그 중심을 옮겨가면서 문학이라는 행위, 제도, 형식, 혹은 실천 영역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킨다. 그들에게 문학이란 오로지 하위장르를 억압하는 상징질서의 대리인에 불과하다. 그 결과 그들은 문학 형식이 아닌 그 바깥의 하위문화를 귀환시키기만 하면 기존의 상징질서를 해체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하지만 이는 언제나 앞선 자리에서 상징질서에 저항하는 문학적 실천을 오로지, 그리고 오히려 비판함으로써 상징질서의 폭력성을 가려버리는 역효과를 낳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의 문화연구가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 혹은 ‘복수(複數)의 문학사’를 발명하기 위해서는 ‘문학 없는 문화연구’에서 ‘문화 있는 문학연구’ 혹은 ‘문학 있는 문화연구’로 그 중심을 옮겨야 한다. 다시말해 문학의 역사와 위상에 대한 진지한 고고학적 탐사 위에 그들이 관심을 갖는 문화 영역에 대한 연구를 비교, 대조, 유추시킬 때, 문화연구는 기존의 상징질서를 해체하는 문화연구 본연의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o a careful reading of Munhaksa ihuui munhaksa(Literary History after Literary History) and Heoyongdoen buron(Permissible Rebellion), books that comprehensively survey the cultural research carried out after the mid-90s and also presen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Reading these two books gives us the opportunity to examine the accomplishments of cultural studies and to look at ways of future research.
    In Munhaksa ihuui munhaksa, cultural researchers count as the fruits of their research the return of “literatures” and “cultures” previously excluded from literary history that until then was centered on nationalism, men, and the elites, and showing the possibility of “plural literary histories.” This evaluation should not be taken as self-praise. Indeed, cultural research since the mid-90s has drawn several important elements into the realm of literary history, such as subcultures, historical geographies, gender oppression, literary debut systems, which earlier literary history did not talk about or even repressed. And thanks to this, we have the conditions to establish a new genealogy of Korean literature. Heoyongdoen buron is a compilation of research on the colonial censorship system that emerged as an important part of cultural politics studies after the late 90s. It includes almost all areas related to colonial censorship, such as what censorship devices were used by the censors that made it impossible to “write what one wanted to write” and what it was that writers of that period “couldn’t write.” The post mid-90s cultural research that broadened the horizon of Korean literary research now stands at a crossroads: Will Korean intellectuals will carry out meaningful genealogical practice or will their research decline to meaninglessly listing unordered subcultures. This is related to how researchers engaged in cultural studies after the mid-90s view literature. As they move the focus of their research from “literature to cultural studies,” they oversimplify the act, institution, form, or practice of literature. To them, literature is merely an agent of the symbolic order that suppresses subcultures. As a result, they believe that they can dismantle the existing symbolic order simply by returning the subculture to the literary form. However, this brings about the adverse effect of covering up the violence of the symbolic order by only criticizing the literary practice that resists the symbolic order.
    Thus, in order to invent the “literary history after literary history” or “plural literary histories” that recent cultural research dreams of, “cultural research without literature” should change to “cultural research with culture” or “cultural research with literature.” In other words, recent cultural research can attain its original purpose of dismantling the symbolic order when it compares, contrasts, and infers the research into the cultural sphere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with a serious archaeological exploration of the history and status of literature. Thus, paradoxically, the most crucial question in current cultural and literary research is what literature was, is, and will be. In other words, the issue is still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