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청 교체기 해로사행의 항해 노정과 해신제(海神祭): 홍익한의 『조천항해록』과 이흘의 『조천일기』를 중심으로 (Voyage Route and Haeshinje of Haerosahang during the Exchange Period of Ming and Qing Dynasty: Focusing on Hong Ik-han's Jocheon-log and Lee heul’s Jocheon Diar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2.04
43P 미리보기
명청 교체기 해로사행의 항해 노정과 해신제(海神祭): 홍익한의 『조천항해록』과 이흘의 『조천일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68호 / 113 ~ 155페이지
    · 저자명 : 신익철

    초록

    이 논고는 명청 교체기 해로 사행의 항해 노정과 해신제(海神祭)의 실상을 살펴본 것이다. 명청 교체기 해로 사행은 등주(登州)와 각화도(覺華島)로 가는 두 가지 노선이 있었으며, 해로를 통한 사행길은 죽음의 공포를 동반한 여정으로 각종 해신제가 빈번하게 행해졌다. 해로 사행의 연행사는 출항할 때는 물론 도중에 선박이 표류하거나 거센 풍우를 만난 위기 상황이나, 험난한 구간을 통과해야 할 때면 수시로 해신제를 지내며 항해의 안전을 기원하였다. 대해(大海)․용왕(龍王)․풍백(風伯)에게 올리는 삼신제(三神祭)를 비롯해 개양제(開洋祭)․선신제(船神祭)․기풍제(祈風祭)․성제(星祭) 등의 여러 해신제가 행해졌다. 꿈에서 만난 해령(海靈)이나 내포(內浦) 성황신에게도 제사를 지내고 있는바, 이는 해로 사행의 연행사가 유교식 사전(祀典)에서 벗어난 민간 신앙에 따른 제례 행위도 수용했음을 알려준다. 이 밖에 가장 위험한 구간인 철산취(鐵山嘴)를 통과할 때면 노철산(老鐵山)의 신령에게 치제하였고, 이 부근에서 익사한 사신에게도 제사를 지내며 안전을 기원하였다.
    명청 교체기 해로 사행의 해신제 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천비(天妃)에 대한 제례(祭禮)이다. 일례로 1624년 이덕형(李德泂) 일행은 광록도(廣鹿島)에서 만난 중국인 노승의 권유에 따라 천비, 용왕, 소성(小聖)의 삼신(三神)에게 제사를 지내며, 천비의 탄신일을 맞아 묘도(廟島)의 천비묘에 제례를 올린다. 이는 기존의 대해․용왕․풍백의 삼신과는 다른 신격(神格)을 수용한 것으로, 해로 사행의 사행단이 중국 해역을 항해할 때 현지의 해신 신앙을 수용했음을 말해준다. 해로 사행의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천비는 여러 해신 중 으뜸가는 지위를 차지하며 그 위상이 한층 강화된다. 천비제(天妃祭)는 해양을 통한 문화 전파의 사례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oyage route and Haeshinje (海神祭) of Haerosahang (海路使行) during the Ming and Qing exchange period. During the Ming and Qing exchange period, there were two routes going to Deungju (登州) and Gakhwado (覺華島). The meandering path through the sea route was accompanied by the fear of death, so various Haeshinje were frequently performed. Joseon envoys of Haerosahang performed Haeshinje frequently, not only at the time of departure, but also in times of crisis when ships drifted along the way, met with strong winds and rains, or had to pass through difficult sections, praying for the safety of sailing. Various Haeshinje were performed including Samshinje (三神祭), Gaeyangje (開洋祭), Seonshinje (船神祭), Kipungje (祈風祭), and Seongje (星祭), etc. Envoys of Haerosahang also offered rituals for deity of sea and patron saint of a cove, and this indicates that they also accepted rites according to folk beliefs, besides confucian style standard. In addi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most dangerous section, Cheolsanchwi (鐵山嘴), they paid tribute to the spirits of Nocheolsan (老鐵山) and other envoys who drowned in that area, praying for the safety of sailing.
    The most interesting point of haeshinje of Haerosaeng during the Ming and Qing exchange period is the ritual for Cheonbi (天妃). For example, in 1624, Lee Deok-hyeong and his party performed ancestral rites to the three chinese gods, Cheonbi, longwang, and Soseong, following the recommendation of an old Chinese monk they met on Gwangnokdo (廣鹿島). And they also performed a ritual at the tomb of Cheonbi on Myodo (廟島) to commemorate Cheonbi’s birthday. This is because they accepted a different deity from the existing three gods (Great Sea, God of sea, God of wind), meaning that envoys of Haerosaeng accepted the local sea god beliefs when sailing in Chinese waters. As the experience of Haerosaeng is accumulated, Cheonbi occupies the highest position among the many sea gods, and its status is further strengthened. Cheonbije (天妃祭), the ritual for Cheonbi, deserves attention as an example of cultural dissemination through the s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