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쇼운입명기[笑雲入明記]』를 통해서 본 중국 사찰과 명・일간의 불교 교류 (The Buddhist Temples of Ming China and Sino-Japanese Buddhist Exchanges as Seen through Shōun Nyumeik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4.08
29P 미리보기
『쇼운입명기[笑雲入明記]』를 통해서 본 중국 사찰과 명・일간의 불교 교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25권 / 3호 / 25 ~ 53페이지
    · 저자명 : 임경준

    초록

    이 논문은 일본 무로마치 막부에서 명조 중국으로 파견된 호토쿠 견명사의 종승 쇼운 즈이킨의 여행기인 『쇼운입명기』를 소재로 하여 저자 쇼운이 직접 유람했던 중국의 사찰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중・일간에 이루어진 불교 교류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했다. 쇼운은 절강성 영파에 입항한 이후 대운하를 통해 북경을 왕복했으며 이 과정에서 영파와 항주를 비롯한 도시에 소재한 다양한 사찰을 방문했다. 이 논문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쇼운이 방문한 사찰을 지역에 따라 구별하여 서술하는 방식을 택했다.
    쇼운은 영파에 도착한 후 북경으로 상경하기까지 영파에 있는 다양한 사찰들을 방문했다. 나아가 상경 허가가 떨어진 후에는 항주로 이동하여 잠시 체류하였는데, 이 기간동안에도 항주에 있는 여러 사찰들을 유람했다. 이 논문에서는 지방지와 사지를 비롯한 여러 사료를 활용하여 각 사찰의 역사적 연원과 특징을 밝히는 동시에 일본 불교계와의 교류 관계를 상세히 규명했다. 한편 쇼운은 북경에 도착한 이후에는 황제의 명을 받아 대륭복사와 대흥복사와 같은 칙건사찰(勅建寺刹)을 유람하기도 했다. 특히 북경의 사찰에서는 황제와 그 측근인 환관의 배경 아래 융성하고 있던 당시 불교계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쇼운입명기』는 15세기 중반 명과 일본 간에 이루어진 불교 교류와 사찰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쇼운은 생생한 필치로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배경과 함께 사찰의 역사와 구조, 사찰에서의 의례와 생활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쇼운이 방문했던 사찰들은 송원시대 이래 일본과의 불교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이기도 했다. 명대에 이르러서도 이러한 상호 교류의 기억이 이어지고 있었고 이를 통해 두 나라 간의 문화적, 종교적 상호작용을 엿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Buddhist temples in China that were visited by Shōun Zuikin during his journey, as recorded in his travelogue, Shōun Nyumeiki. Shōun was a member of the Japanese Hotoku mission, which was dispatched to Ming China during the Muromachi shogunat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nature of Buddhist exchanges between China and Japan during this period. Upon his arrival in Ningbo, Zhejiang Province, Shōun proceeded to Beijing, returning via the Grand Canal. During his journey, he visited a considerable number of temples in various cities, including Ningbo and Hangzhou. In order to facilitate a detailed analysis, this paper categorises the temples visited by Shōun by region.
    In Ningbo, Shōun visited a number of temples in the vicinity. Subsequently, he was granted permission to proceed to Beijing, making a brief halt in Hangzhou, where he resided for a period and visited additional temples. This paper employs local records and historical documents to elucidate the historical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emple, as well as to examine the nature of exchanges between the Japanese Buddhist community and these Chinese temples. Moreover, upon reaching Beijing, Shōun visited the imperial temples at the emperor's behest. The temples in Beijing, in particular, reflect the flourishing Buddhist environment shaped by the influence of the emperor and his close eunuchs.
    Consequently, Shōun Nyumeiki constitutes a significant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nature of Buddhist exchanges and temple culture between Ming China and Japan in the mid-15th century. Shōun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the period, as well as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history, structure, rituals, and daily life of the temples he visited. These temples played a pivotal role in Buddhist exchanges with Japan since the Song and Yuan dynasties. The memory of these exchanges persisted into the Ming period, providing insights into the cultural and religious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