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행 도로 명 주소의 제 문제점과 대안 (Problems of the Current ‘Road Name-based-address System’ and Problem Resolution Alternativ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4.06
27P 미리보기
현행 도로 명 주소의 제 문제점과 대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20권 / 161 ~ 187페이지
    · 저자명 : 손희하

    초록

    이 글은 현행 도로 명 주소 체계의 제 문제점과 대안을 고찰한 것이다. 이는 주소 명 정책 수립과 시행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글이다.
    현행 도로 명 주소는 문화 역사 면에서 전래 고유문화 파괴 및 망실, 문화 공동체 파괴 우려가 있고, 우리와 외국 문화 차이를 간과하였다. 정보나 기억의 인지ㆍ저장 면에서는 도로 명 주소가 동명에 비해 구성 요소가 많아지고, 위치 인식이 더 어려워 졌으며, 음절수 또한 과다한 것이 많아짐에 따라 인지 면에서 더 어려워지고, 기억해야 할 정보 양이 더 많아졌다. 기억하기 어렵게도 길고 복잡한 숫자 나열식 도로 명 주소로 되어 주소 체계 면에서 더 복잡하다. 자연 지형을 따라 골목이 형성된 우리 현실 여건에도 알맞지 않다.
    앞으로 수조 원이 넘게 계속 들 홍보비나 국민 기억ㆍ심적 고통 비용, 문화 향유나 행복 추구에 반하는 비용 등을 생각하면 냉정하게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것이 절실해 보인다. 현행 도로 명 주소는 위치 찾기 선진화 사업에 따른 것인데, 적어도 길 찾기 위한 도로 명과 지명을 분리해야 한다. 자연 환경을 반영하고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와 사상과 정서와 생활을 반영하기도 하며, 해당 지역의 생활 문화가 녹아들어 있는 조상 대대로 물려온 소중한 문화유산이요, 우리네 삶의 궤적을 담고 있어 역사 자료를 보충해 주는 중요한 생활 정보 자원인 지명이 단순한 길 찾기 도구로 전락해서는 안 될 것이다. 지금 선진국 등 다른 나라나 유엔 등의 기구에서는 지명을 문화유산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추세임을 마음에 새겨야 할 것이다.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전승 동명 지명은 그대로 두고, 일제강점기에 없어진 지명을 되살려야 한다. 사라지는 지명, 문화유산을 보존해야 한다. 아울러 재개발ㆍ택지 개발ㆍ공단 입주 지역, 저수지 등 지형 변개 지역 지명 조사 정리 또한 반드시 필요하다.
    국가 정책은 국민 행복을 추구하고 문화 향유를 돕는 쪽으로 가야할 것이다. 국민 복지와 국민 권익을 화두에 올리는 현 시점에서는 주소가 바뀌어 자기 주소조차 외우지 못하는 노인 등 기억 장애인을 생각해야 한다. 정부가 중대한 정책 수립과 시행에 앞서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소통하는 행정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problems of the present ‘road name-based-address system’ and consider the problem resolution alternative. I will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of policy making and enforcement on address system.
    The present ‘road name-based-address’ has possibility to destroy native culture and cultural community in terms of culture and history ignoring cultural difference between our culture and foreign one.
    Compared to the Dong(洞)-name-address, ‘road name-based- address’ has more components in terms of information memory perception and storage. it became more difficult on location awareness, and it has become burdensome as an aspect of recognition according as excessive syllable numbers has increased.
    We thus have to memorize more data. It is more complicated address system because it is following the ‘road name-based- address’ of the perplexing number arrangement way.
    It is not appropriate to our situation in that the street and alley has formed fitted to geographical features. The present ‘road name-based-address’ is for keeping up positioning development policy but it is at least necessary to separate road name from place name.
    Place name is the mirror of natural environment, history, culture, spirit, emotion and life of our community. It is also priceless cultural legacy com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containing the trace of our lives complementing historical data. It hence should not be degraded only as a tool for positioning.
    We have to take it into deep consideration that nowadays UN or other development countries see place name very important cultural heritage.
    We have to conserve place names based on Dong-names and restore place names which were annihila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We have to preserve place names and cultural legacy which are disappearing.
    In addition, it is indispensable to research and rearrange on the place names of geographical change such as reservoir and areas in a redevelopment housing site or industrial complex.
    National policy should aim at public happiness and enjoyment of culture. At this point in time public welfare and right of people become the conversation topic. We thus have to consider such memory- impaired people as the old who cannot memorize even their own address due to policy change.
    The government must do communicating administration listening to the people before important policy decision and enforc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