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末 遼東政局과 朝鮮 - 명 후기 변경의 위기와 질서변화를 중심으로 - (The political situation of Liaodong in late Ming Dynasty and Jose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0.09
25P 미리보기
明末 遼東政局과 朝鮮 - 명 후기 변경의 위기와 질서변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26호 / 177 ~ 201페이지
    · 저자명 : 남의현

    초록

    명 후기 遼東政局의 변화를 이해하는 문제는 명 왕조의 성격, 요동사회, 나아가 16-17세기 동아시아 질서 변화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매우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명 후기 요동정국의 중요한 주제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조선의 對外關係가 對明에서 對淸으로 전환되는 원인 분석의 틀과 연관시켜 보고자 하였다.
    우선 후기 요동정국의 특징으로써 명의 몽골정책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명나라가 몽골의 알탄 칸과 馬市의 개설을 재개하여 변경의 안정과 평화를 유지하고자 했던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明·몽골관계는 후기 명나라 변방 군사력의 약화라는 약점을 가지고 시작했다는 의미에서 명 초기의 몽골관계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곧 馬市의 재개는 명나라가 몽골과의 빈번한 전쟁에서 찾아오는 변방의 위기를 감소시키고 막대한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지출과 수요를 축소시키려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선택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결과적으로 명나라의 이러한 선택은 북변정세, 나아가 명후기 요동정세마저 약화시키는 중요한 정책상의 한계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明의 女眞에 대한 정책 역시 한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밝혀보았다. 명 초기에는 建州衛를 建州 3衛로 분리시키는 등 여진통제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누르하치 등장 이후 건주여진은 海西女眞을 통합하여 明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명 후기의 여진은 형식상으로 명나라의 羈縻衛所와 같이 인식되었으나 실은 명이 통제할 수 없는 세력으로 성장하여 朝鮮에 군사를 파견하여 왜구를 섬멸하겠다고 공언할 정도였다. 이것은 곧 명나라가 초기부터 진행해 온 여진정책의 한계를 분명히 보여준 것이고 오히려 건주여진이 요동의 대부분을 장악할 수 있다는 전주곡과 같은 것이었다.
    명나라의 여진 통제의 실패, 몽골과 여진에 대한 마시의 개설 등은 명나라 변경에 대한 통제력의 약화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으로 명과 조선의 변경지대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더 이상 변경지대는 명의 관할이 될 수 없었으며 이는 변경지대에 대한 명 지배력의 상실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상황들은 동아시아 질서가 明에서 淸으로 그 중심이 변화된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여진은 後金이 성립되는 시기(1608~1616) 를 전후하여 명을 압도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함께 조선과 동등한 세력임을 자부하였으며, 명나라에 선전포고 하였다. 天命 4∼天命 11년(1619-1626)은 조선이 명과 후금 사이에서 고뇌하였지만 후금 중심으로 실리외교를 전개하던 시기로, 평가할 수 있으며, 天總 元年-順治 元年(1627-1644)은 2차례의 전란으로 朝鮮·明관계가 朝鮮·淸 관계로 바뀌면서 불안정한 朝鮮·淸관계가 지속된 시기로, 순치연간 이후는 入關이 완료되고 淸이 내부적으로 안정을 찾으며 조선과 청의 관계가 정례화되고 비교적 안정을 찾아가는 시기로 정리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olitical situation of Liaodong in late Ming era to understand nature of Ming Dynasty, Liaodong society and the essence of change of order in east Asia during the 16-17th centuries. This study explores several important topics on the political situation of Liaodong in late Ming era, and examines their correlation with the cause of Joseon's diplomatic change, moving from Ming to Qing First, the background of Ming's effort to maintain stability and peace in the border area by re-opening the horse market to Altan Khan of Mongolia is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ing's policy towards Mongolia which character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Liaodong in late Ming era. Late Ming-Mongol relationship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of earlier years in that military power of Ming in the border area in later years was weakened. It is understood that the purpose of Ming's re-opening the horse market to Mongolia was to reduce the risk in the border area caused by frequent wars with Mongolia, and also reduce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needed to defend the excessively long borderline. Such a move of Ming, as a result, can be assessed as a significant political limitation that weakened their political position in the northern border as well as in Liaodong.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mitations of Ming's policy towards Jurchen. In early Ming era, Ming had control over Jurchen; for example, the division of Jianzhou wei(建州衛) into 3 wei(衛). But after the appearance of Nurhachi, Jianzhou Jurchen integrated Haixi Jurchen and grew into a power that became a threat to Ming. Jurchen in late Ming dynasty, which was nominally recognized as a vassal state. However, they had actually grown to be a power beyond Ming's control and declared that they would send the military forces to Joseon to annihilate the Japanese pirates. This was the prelude of Jianzhou Jurchen's hegemony in Liaodong and showed the limitation of Ming's policy against Jurchen right from the beginning. Ming's failure to control Jurchen and re-opening of the horse market to Mongolia and Jurchen directly showed weakening of Ming's power in the border area, and such weakening of Ming's power was also shown in the border line between Ming and Joseon. Ming was not dominating power in the border area any more and lost its control in the area.
    This kind of situation meant the center of east Asia had moved from Ming to Qing. During the establishment period of Later Jin (1608-1616), Jurchen was confident that they could overpower Ming and were equal to Joseon, and declared war against Ming. During the period of Tienming 4~11 years (1619-1626), Joseon was torn between Later Jin and Ming but slanted towards Later Jin and conducted pragmatic diplomacy.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first year of Tienchomg and the first year of Sunchi (1627-1644), after 2 wars, Joseon got estranged from Ming and got closer to Qing and after Sunchi, Qing got more stabilized internally and the relatioship between Joseon and Qing became more formal and stabilized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