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명교체기 고창 설씨(高昌偰氏) 서촉 명씨(西蜀明氏)의한반도이주와후손들의동향 (Members of the Gochang Seol House[高昌偰氏] and the Seochok Myeong House[西蜀明氏] who im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Yuan-Myeong Transfer period, and their Descendant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09
35P 미리보기
원-명교체기 고창 설씨(高昌偰氏) 서촉 명씨(西蜀明氏)의한반도이주와후손들의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17호 / 111 ~ 145페이지
    · 저자명 : 안기혁

    초록

    본 연구는 고창 설씨와 서촉 명씨의 한반도 이주 배경과 정착 후 후손들의 동향이 한국사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두 가문은 원-명교치기의 혼란 속에 한반도로 이주했다. 개별적 이주의 원인에는 차이가 있지만 긴밀했던 여원관계의 유산이 이주 결정의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공통성이 있다.
    두 가문은 이주 후 각자의 방식을 통해 한반도에 자리를 잡아갔다. 원대 저명한 위구르 가문인 설씨는 강남에 기반을 두고 이었다. 이들의 지역적 기반은 명 건국 이후, 한반도의 설씨 구성원들이 관련 외교 분야에서 활약하는 배경이 된다.
    명씨의 경우 원 말기 사천 지역을 통치했던 가문으로 홍무제에 의해 한반도로 강제 이주되었다. 홍무제는 이들을 이주시키면서 백성으로 삼지 말고, 오직 손님으로만 대접하도록 당부했다. 홍무제의 당부는 조선 개국 이후에도 유지된다.
    조선의 지식인들은 과거의 기억을 활용해 이들 가문의 위상을 설정했다. 설씨의 경우 원대 성리학 수양에 힘쓰고, 다수의 과거 합격자를 배출한 사실이 오랫동안 기록되었다. 명씨는 18세기 조선의 중화의식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중원의 의례용 복식 전수에 도움을 준 가문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지식인들의 기억은 이후 이주 가문의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재구성히는데 큰 도움이 되기도 했다.
    앞서 언급했듯 고창 설씨와 서촉 명씨의 이주와 활동은 표면적으로는 정착을 위한 노력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초창기 대명관계 안정화에 기여하였으며, 조선 지식인들의 중화 의식을 심화시키는데 한 배경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and why members of the Gochang Seol House(高昌偰氏) and the Seochok Myeong House(西蜀明氏) im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what was the meaning of their descendants’ activities in later Korean history. Both houses came to Goryeo, in the wake of extreme chaos caused by the Mongol Yuan presence in China pulling out, and the ensuing Han-based Ming dynasty’s replacement of the Imperial Yuan. Although they relocated themselves to Korea for different reasons, both were able to ultimately do so thanks to the close relationship Goryeo and the Yuan Empire had with each other.
    After coming to the Korean peninsula, both houses established themselves in such a new environment in their own ways. The Seol House had actually been a renowned Uighur household in the Yuan Empire, with a resident base in the Jiangnan region of China. Their such background enabled the House’s descendants to engage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Ming China. Meanwhile, the Myeong House, which had earlier ruled the region of Sichuan at the end of the Yuan imperial period, constituted a case in which an entire House was forcibly relocated to the Korean peninsula by no other than the Ming Emperor Hongmu himself. The Emperor asked Goryeo and later Joseon kings to treat them not as refugees but as ‘guests.’ The Joseon elites regarded them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ose Houses’ past reputation. The fact that members of the Seol House have engaged in Neo-Confucian studies and produced successful state-exam applicants for generations continued to be described in Joseon records. Meanwhile, later in the 18th century Joseon (when the Jung’hwa sentiment was amplified throughout the society) the Myeong House was heralded as a household that helped the late Goryeo government secure Chinese ritual attires and also facilitated the peninsula’s adoption of Chinese cultural elements. These recollections by the Joseon intellectuals in fact helped the descendants of these households to redefine their own identity as well.
    The immigration and subsequent activities of the Gochang Seol and Seochok Myeong Houses were indeed another form of struggles to establish themselves in an alien environment, but they also contributed to shaping Joseon’s relationship with Ming in the dynasty’s early days and later to encouraging the Joseon intelligentsia to deepen their Sino-centric perspectives. That may be the legacy left by the descendants of those two househo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