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비대면 온라인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Nutrition education reality in nutrition teachers and awareness and demand for online nutrition education)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2.09
16P 미리보기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비대면 온라인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18호 / 39 ~ 54페이지
    · 저자명 : 이슬기, 계승희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비대면 온라인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 영양교사 158명이었고, 설문조사는 구글폼의 형태로 링크를 이메일로 전송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6.0을 이용하여 분석항목에 따라 카이제곱검정(Chi-squared test) 또는 피셔의 정확검정(Fisher’s exact test) 및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 실시 비율이 중⋅고등학교보다 더 높았으며, 영양교육을 실시하지 못하는 주요 이유로 영양교사의업무과다로 인한 시간부족을 제시하였다. 영양교육 실시 방법으로 초등학교는 재량활동 시간에 강의식으로 직접 교육하는 방법, 중⋅ 고등학교에서는 가정통신문을 이용하는 간접교육의 방법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1년간 학교에서의 영양교육 실시 내용은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균형있는 식사와 올바른 식습관, 식사예절, 초등학교 고학년에서는 식중독 관리, 중학교에서는 균형있는 식사, 비만예방 및 체중관리, 식중독 관리, 식품위생, 싱겁게 먹기, 영양표시의 비율이 높았다. 고등학교에서는 건강간식 섭취, 비만예방 및 체중관리 및 영양표시 내용이 많이 교육되었다. 또한 환경오염(학교급식 잔반 줄이기)에 관한 교육내용은 초⋅중⋅고등학교의 모든 학년에서 다루어졌다. 연구대상자 중 온라인 영양교육을 실시한 경험의 비율은 과반수 미만이었으며, 온라인 영양교육에서학습자와의 실재감 부족, 실습이나 체험 등의 활동수업의 제약을 한계점으로 제시하였다. 온라인 영양교육의 개선방안으로 다양한수준의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COVID-19와 같은 감염병 발생 및 확산을 대비하여 비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온라인 영양교육의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nutrition education reality among nutrition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examine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non-face-to-face online nutrition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8 nutrition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the collected data, the Chi-squared test, Fisher's exact test, or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items using SPSS Statistics version 26.0.
    Results The study showed that nutrition education was more prominent in elementary tha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lack of time due to overwork in nutrition teachers was suggested as the main reason for the failure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As the methods of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direct education methods in the form of lectures during discretionary activity time in elementary schools, whereas indirect education methods using school newsletter were comm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As for the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in schools for the past year, a balanced diet, good eating habits, and table manner were taught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food poisoning management was educated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 proportions of contents on a balanced diet, obesity prevention and weight management, food poisoning management, food hygiene, eating blandly, and nutrition labeling were high in middle school. There was a high level of education in high school on healthy snack intake, obesity prevention and weight management, and nutrition labeling. Less than half of the study subjects experienced online nutrition education. The limitations of online nutrition education were the lack of a sense of presence with learners in online nutrition education and the restrictions on activity classes such as practice and experience. The highest percentage responded that various content levels are needed to be provided as a measure to improve online nutrition edu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o activate online nutrition education are needed to be performed non-face-to-face in preparation for the occurrence an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