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헬스케어 App을 통한 비대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구축 연구 (Research on Building a Non-face-to-fac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Through Healthcare App)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4.01
11P 미리보기
헬스케어 App을 통한 비대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구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 10권 / 1호 / 119 ~ 129페이지
    · 저자명 : 장기열, 최영철, 박경일, 박선미

    초록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 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원격의료 규제로 인해 원격의료 산업과 시장이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헬스케어, 특히 노인층을 위한 실버경제에서 비대면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도 최근 보건복지부의 비대면진료 예외적 허용 확대 정책이 발표됨에 따라 관련 분야 연구개발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의료법의 규제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헬스케어 App을 통한 비대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구상 및 설계 과정을 다루었다. 특히 시설 및 기관에 입소 중인 노년층이 가족들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비대면 헬스케어 App을 구상하고, 이를 활용해 환자-요양시설 및 기관 관계자-환자 보호자 간 쌍방향 소통을 활성화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한 시스템 디자인 과정에서 UI와 UX를 강화하고, 다양한 데이터 이해관계자들의 유연한 참여가 가능할 수 있는 구상과 설계 과정도 제시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다양한 데이터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를 통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장점이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는 노인장기요양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은 ‘소통’의 기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While interest in non-face-to-face medical care is increas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telemedicine industry and market are not expanding in Korea due to telemedicine regulations. However, the non-face-to-face healthcare service market is growing quickly in the global healthcare industry, especially in the silver economy for the elderly. Meanwhile, in Korea, research and development in related fields is expected to gain momentum a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cently announced a policy to expand exceptions for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Accordingly, this study dealt with the conception and design process of a non-face-to-fac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through a healthcare app within the scope of the current medical law regulations. Specifically, this study involves developing an app for non-face-to-face healthcare that enables elderly people in facilities and institution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ir families, and using it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activat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nursing facility and institution officials, and patient guardians. In addition, the UI and UX were strengthened during the system design process, and a conception and design process that enabled flexible participation of various data stakeholders was also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 that the advantage is that it ensures the flexibility to allow customization through consultation with various data stakeholders, and that it secures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long-term care system for the elderly operat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s expected to be competi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