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환경에서 직업상담사의 비대면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Non-face-to-face Counseling Experience of Vocational Counselors in the COVID-19 Environmen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2.05
34P 미리보기
코로나19 환경에서 직업상담사의 비대면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23권 / 2호 / 679 ~ 712페이지
    · 저자명 : 유미경, 안윤정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비예측적인 상황에서 직업상담사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상담을 전환하면서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과 시행착오를 통해 상담사의 역할에 대한 성찰과 적응 과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직업상담사의 경험을 통해 비대면상담이 직업상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식과 이를 위한 직업상담사가 갖춰야 하는 역량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비대면직업상담을 경험한 11명의 직업상담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내용을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으로 분석하였으며, 3개의 영역과 8개의 범주 및 2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은 ‘변화된 상담환경에 적응하기’로 하위범주는 ‘익숙하지 않은 상담환경을 마주함’, ‘ 비대면상담에 대한 우려와 기대’, ‘비대면상담을 수용하는 내담자의 적응’ 등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영역은 ‘비대면상담 과정에서 새로운 길 찾기’로 하위범주는 ‘익숙했던 직업상담의 절차를 적용하지 못함’, ‘직업상담사의 역할과 직무에 대한 성찰’, ‘상담장면으로 내담자를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 등이 도출되었다. 세 번째 영역은 ‘비대면 환경에서 직업상담의 방향성 찾기’로 하위범주는 ‘비대면상담에서 필요한 상담사의 역량 인식’, ‘비대면상담에 대한 평가 및 활용’ 등으로 설정되었다. 직업상담사들은 갑작스럽게 변화된 상담환경을 마주했음에도 적응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려고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상담과정에서 기존에 적용하던 상담절차가 생략되는 어려움에 직면했으며 비대면 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어떻게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고민하면서 대안적 방법을 탐색하였다. 향후 비대면직업상담에서 필요한 상담자의 전문적 역량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심리상담과 차별적으로 직업상담에서 직업정보를 다루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비대면직업상담에 대한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flect and adaptation process of the role of vocational counselors through various difficulties and trial and error that the counselors have experienced in non-face-to-face counseling converted from face-to-face by facing the unpredicted situation called COVID-19.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efficient application methods in non-face-to-face counseling and competencies that the counselors must have for the methods from their experienc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11 vocational counselors, experienced non-face-to-face counseling,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and 3 domains and 8 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were derived. First, the categories of 'facing unfamiliar counseling environment', 'concerns and expectation about non-face-to-face counseling', and 'adaptation of clients to non-face-to-face counseling' were appeared in the domain of 'adapting to the changed counseling environment'. The second domain was 'finding new methods in non-face-to-face counseling process', and it derived the following categories: 'failed to apply the familiar counseling procedures'; 'reflect on the role and job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and 'efforts to lead clients into the counseling scene'. The third domain was 'finding the direction of vocational counseling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and the subcategories were set as 'recognition of the competence of counselors necessary for non-face-to-face counseling' and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non-face-to-face counseling'. Vocational counselors made great efforts to find a way to adapt even though they faced a sudden change in the counseling environment. In the counseling process, the existing counseling procedure was faced with the difficulty of omitting, and alternative methods were explored through consideration of how counselors and clients interact and move forward to solve problems in non-face-to-face counseling. Based o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counselors in non-face-to-face vocational counseling,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n important task to deal with vocational information in vocational counsel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non-face-to-face vocational counseling were pres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