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멘토링 활동 과정에서대학생 멘토가 경험한 성장 (Growth Experience through Mentoring Program by college student mentor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7.12
29P 미리보기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멘토링 활동 과정에서대학생 멘토가 경험한 성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학교사회복지 / 40호 / 65 ~ 93페이지
    · 저자명 : 배진형, 안정선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멘토들이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 과정 전반을 통해 어떠한 성장을 경험하였는지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멘토들이 참여한 멘토링은 대학 교수진과 대학 산학협력단, 지역사회복지관이 4년 간 매년 새로운 멘토와 멘티의 매칭으로 구성되어 실행되어 온 산학연계사업이었고,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멘토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구성과 체계에 대해 먼저 소개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지역사회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대상 멘토링에 참여한 6명의 멘토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집단인터뷰로 진행되었다. 포커스집단인터뷰 자료는 녹취를 거쳐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통해 개방코딩으로 분석되었다. 포커스집단인터뷰 분석 결과 35개의 범주, 11개의 하위범주, 3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상위범주는 전체 멘토링 프로그램의 초기, 중기, 종결기의 과정이 반영된 순서로 기술되었다. 첫 번째는 ‘기존 역량과 시스템이 만나 조화를 싹 틔운 초기’ 범주 하에 ‘도전적 동기부여를 경험함’, ‘차별화된 나만의 강점을 발견함’, ‘자신의 긍정적 자질과 연결함’ 그리고 ‘교육내용을 적절히 활용함’이었다. 두 번째는, ‘역동적인 체계 간 상호작용을 통해 역량을 강화해 가는 중기’ 범주 하에 ‘시도와 인내로 멘티의 변화를 이끌어 냄’, ‘자신에 대한 성찰과 개선을 위해 노력해 감’, ‘상호성장의 의미를 인식함’, ‘다양한 지원을 통한 성장을 인지함’ 그리고 ‘실무 관련 역량이 증진됨을 확인함’이었다. 마지막 범주는 ‘멘토/멘티 동반 성장을 통한 성취감을 확인하는 종결기’ 범주 하에 ‘멘티의 성숙함이 깊어짐을 알게 됨’ 그리고 ‘성실한 노력을 통한 종결의 보람을 경험함’ 이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보다 체계화된 홍보와 모집과정 준비, 주체적인 동료 멘토 간 소통의 구조화, 멘토의 기존 강점과 활동 연결성 증진 기회 확대, 사전교육 시스템의 강화, 슈퍼비전과 슈퍼-멘토링의 활성화 등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ntors’ positive growth experience during the mentoring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low income families. For this purpose, a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6 mentors was held in order to get data.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through constant comparison method. As the result, 35 concepts, 11 sub-categories, 3 categories were found. First category was ‘budding the co-creation between the mentors’ existent capacities and systematic program’ including ‘experiencing challenging motivation’, ‘finding out individual strengths’, ‘getting to implement mentors’ positive talents’, and ‘utilizing the prior education’ as sub-categories. Second category was ‘strengthening competences from the interactions among various systems’ which was composed of ‘mentees who were changed based on mentors’ patience and consistent trials’, ‘self-reflection and efforts for improvement’, ‘realizing the meaning of mutual growth’, ‘positive changes through variety of support’, and ‘enhancing job competences’ as sub-categories. Last category was ‘feel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resulting from both sides’ growth’ including sub-categories as ‘getting to know the depth of mentee’s growth’ and ‘rewarding from faithful endeavor’. Suggestions include more systematic preparation for promoting/recruitment, structured/independent communication among mentors, increasing opportunities of matching mentors’ original strengths for program appl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