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척 상두산 산멕이에서 모시는 신령들의 구조와 성격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Gods in Sanmaeki, Mt.Sangdu, Samcheok)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0.08
24P 미리보기
삼척 상두산 산멕이에서 모시는 신령들의 구조와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41호 / 123 ~ 146페이지
    · 저자명 : 김도현

    초록

    ‘산’을 ‘위한다’ 또는 ‘모신다’는 의미를 지닌 ‘산멕이’는 집안의 시조와 후손의 연결성을 기반으로 설행되는 의식이다. 산멕이에서 모신 ‘산’은 신화상의 시조로 여겨지는 ‘천왕’의 분화된 의미로 볼 수 있기에, 산멕이에 참여하는 집안의 존재적인 근원과 연계된 시조의 성격을 띠고 있다.
    상두산 산멕이에서 모시는 신령들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두산 산멕이에서 모시는 신령들과 관련하여, 태백산에서 천왕을 모신 전통을 계승한 문수맞이를 설행하고, 산멕이를 하는 집안에서 ‘산’을 모시는 등 신화상의 시조를 주신으로 모신 전통을 잘 보여주고 있는 산멕이다. 또한, 다른 지역의 산멕이와는 달리 최고 신령인 천신을 위하는 의례가 있다. 그리고, 축원과 관련하여 산령을 모셔서 빌기, 산님께 빌기, 삼신께 빌기, 말명 축원, 군웅께 빌면서 씨앗떡 받음, 돼지창으로 살치기, 군웅신체 받는 것 등을 통해 염원하는 것이 이루어지길 기원한다. 이와는 달리 인사드리는 존재는 천신과 산신이다. 산신을 먼산, 근산, 수리영산으로 구분하여 모시는데, 먼산은 태백산이고, 근산은 산을 멕이던 삼척의 근산, 미로 쉰움산, 도계 천지봉 등을 이른다. 수리영산은 현재 산멕이를 설행하는 공간인 상두산이다.
    둘째, 연행과정과 관련하여, 산멕이를 하기에 앞서 집에서 성주에게 알리고, 집에 좌정한 ‘산’을 비롯한 군웅, 조상 등을 각각 모셔가는 의례를 잘 전승하고 있으며, 산신굿을 통해 산령을 모시면서 후반부에 ‘산’을 위하는 의례를 통해 산멕이를 하는 목적을 잘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볼 수 있다. 산멕이를 하는 목적을 잘 구현하기 위한 제장 정화가 중요한데, 다른 지역 산멕이에서는 산멕이 장소에서 부정치기를 두 번 행하는데 비해 상두산 산멕이에서는 세 번 행하여 매우 정결한 상태에서 산멕이를 설행하려는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공수받는 것과 관련하여 공수 내림에 참여한 후손이 스스로 받는 형태와 무당이 공수를 내려주는 형태로 구분된다. 문수밥 내리기, 조상밥 내리기, 삼신메 내리기 등을 무당이 집전하지만, 공수를 받아 판단하는 것은 당사자들이다. 이에 반해 문수잔맞이, 조상 잔맞이, 쌀점 등은 무당이 공수를 내려주는 형태에 속한다.
    셋째, 상두산 산멕이 전승 권역 및 참여자들과 관련하여, 태백산에서 발원한 오십천을 따라 형성된 산멕이 전통의 구심체 역할을 하면서, ‘대법’을 중심으로 전승되었던 각 지역의 산멕이에 동참하였던 집안들이 상두산 산멕이를 중심으로 새롭게 결집되고 있으며, 안정사 주지 다여[속가 : 경주이씨 집안]를 통해 그 전승력이 매우 탄탄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집안 또는 개인 산멕이가 아닌 각성받이들이 단체로 설행하는 산멕이인 미로면 쉰움산 산멕이와 함께 이를 대표하는 전승 사례이다.
    넷째, 산멕이 운영 및 설단과 관련하여 문수맞이, 산[신화상의 시조], 군웅을 위한 전통과 의례용 도구, 비용 모으는 방법 등은 산멕이의 전형을 잘 보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산멕이를 설행하는 대부분의 사례들에서는 조상 위목을 세장방형 돌에 한지를 실로 두르는 형태이나, 상두산 산맥이에서는 선대 조상의 간지와 성명을 적은 신주를 모신 형태이기에, 조상을 모신 정성을 더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상두산 산멕이가 위에서 정리한 직접적인 의미 외에도 다양한 신앙 기능을 내포하고 있다. 집안별로 참여하지만, 궁극적으로 사람과 신령을 포함한 모든 존재를 위하면서 함께 하고자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산멕이를 할 때 말명을 집에서 더 이상 모시기 어려운 집에서 말명을 산멕이 제장으로 태워 보내고, 산멕이를 할 때, 제장 터와 여기에 모신 신령들이 지닌 신앙 기능을 활용하여 산멕이 설행과는 관련 없이 개인적으로 삼신타기ㆍ산맞이를 하는 사례들은 산멕이 전승의 새로운 형태를 보여준다.
    ‘상두산 산멕이’는 그 전통이 점차 약화ㆍ변질되어가는 산멕이 전통을 올곶게 유지하고, 이의 전승을 위해 노력한다는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영어초록

    Sanmaeki, which means ‘to revere San’, is a ritual that is held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under of the family and the descendants of the family. The ‘San’ enshrined in Sanmaeki is regarded as a divisive meaning of "Mythical ancestor," which is regarded as the founder of myth, and thus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formal progenitor associated with the existing source of the family participating in Sanmaeki.
    To summarize the meaning of "Mt.Sangdu Sanmaeki" as Sanmaeki, the following is a brief description.
    First, Sanmaeki is a well-known example of the tradition of revering the Mountain god in Mt.Taebaek, followed by the worship of ‘San’ from a family that practices the ritual of the Sanmaeki, and revered as a mythical progenitor.
    Second, pray to the Mountain god, pray to ‘San’, pray to ‘Samsin’, pray to ‘Malmyong’, pray to ‘Gunung’, receive seed’s rice cakes, exorcise evil spirits with pig spears, and receive a body of the Gunung. On the other hand, the beings I greet you with are heaven and mountain gods. The Mountain is divided into Meonsan, Geunsan, and Suryeongsan. Meonsan is Mt.Taebaek, and the mountain range is Samcheok's Geunsan, Miro Shunumsan, and Dogye Mt.Cheonji. Suryeongsan is a mountain that is currently Sanmaeki.
    Third, it is very important that Sanmaeki, which was formed along the Osipcheon Stream originating from Mt.Taebaek, maintain as the center of tradition, and that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Mt.Sangdu Sanmaeki, which was passed down by the ‘Daebeop’, are being newly integrated around Mt.Sangdu Sanmaeki, and its transmission power is maintained very solidly through ‘Dayeo’, the governor of Anjeong-Temple.
    Fourth, Prior to Sanmaeki, the ritual to inform ‘Gunung’ and his ancestors, including ‘Seongju’ and ‘San’ seated in the house, is well inherited. and the rite to ritual the mountain god through the Gut for mountain gods in the subsequent proceedings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purpose of Sanmaeki.
    "Mt.Sangdu Sanmaeki"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maintains the Sanmaeki tradition, which is gradually weakening and changing, and strives for its transmi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