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린햄커먼 여성평화캠프의 저항적 퍼포먼스: 공간(topos)과 신체(body)의 정치를 중심으로 (Greenham Common Women’s Peace Camp Resistan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politics of topos and bod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2.04
32P 미리보기
그린햄커먼 여성평화캠프의 저항적 퍼포먼스: 공간(topos)과 신체(body)의 정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22호 / 595 ~ 626페이지
    · 저자명 : 원동필, 박원용

    초록

    그린햄커먼 여성평화캠프(Greenham Common Women’s Peace Camp)는 1981년부터 2000년까지 영국 버크셔주 뉴베리(Newbury)의 영국 공군기지(RAF Airbase) 앞에서 지속된 여성 핵무장반대운동 캠프를 일컫는다. 평화캠프의 여성들은 수년 간 기지 사보타지 및 기지 둘러싸기, 펜스 절단과 기지 침범, 핵무기발사체 이동경로 폭로 등 적극적인 직접행동을 조직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린햄커먼에서 진행된 여성들의 투쟁을 ‘저항적 퍼포먼스’(protest performance)의 관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린햄커먼 평화캠프에서의 저항행동은 군사기지와 이에 맞서는 캠프활동이라는 공간성을 띤 갈등과 투쟁을 중심으로 지속되었다. 또한 캠프 일상의 구성, 기지 사보타지, 미디어 재현을 둘러싼 갈등, 섹슈얼리티, 캠프 철거 등은 모두 여성의 신체를 매개로 이뤄졌다. 캠프 활동가들은 군사기지 펜스와 캠프를 저항적 퍼포먼스가 이뤄지는 연극성(theatricality)을 띤 공연장이자 갤러리(gallery)로 활용하면서 대중 참여와 공동 실천의 장을 만들어 내었다. 이 여성들은 핵미사일이라는 보이지 않는 존재와 비밀리에 이뤄지는 군사작전을 대중들에게 알리고 인지시키기 위한 투쟁을 조직했으며 이는 군, 정부 당국의 작전 수행 여지를 크게 축소시키기조차 했다.
    이 과정에서 수만 명에 이르는 참여자들을 조직할 수 있었고 캠프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전국적인 지원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었다. 평화캠프의 여성들은 미디어의 왜곡과 당국의 위협속에서도 창의적인 투쟁과 커뮤니케이션, 다수 대중의 참여를 기획함으로써 캠프를 지속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여성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자각하게 되었고 그녀들의 신체는 단지 나약하고 보호받아야 할 대상이 아님을 증명했다.

    영어초록

    Greenham Common Women’s Peace Camp refers to a women’s nuclear arms movement camp that lasted from 1981 to 2000 in front of the RAF Airbase in Newbury, Berkshire, England. Women in the peace camp have organized active direct actions over the years, including base sabotage, surrounding the base, cutting fences, invading the base and exposing the route of nuclear weapons launch vehi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women’s struggles at Greenham Common from the perspective of ‘protest performance.’ Resistance behavior at the Greenham Common Peace Camp continued around the military bases and camp activities against them.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daily camp life, base sabotage, conflict over media reproduction, sexuality, and camp demolition were all carried out through women’s bodies. Camp activists created a venue for public participation and joint practices by using the military base fence and camp as a theater and gallery with resistance performances. These women organized a struggle to inform the public of the invisible existence of nuclear missiles and secret military operations, which even reduced the room for military authorities to carry out operations.
    In this process, tens of thousands of participants could be organized and a nationwide support network could be formed to make the camp sustainable. Women in the peace camp were able to continue the camp by planning creative struggles,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majority of the public despite media distortions and threats from the authorities. In the process, women became aware of what they could do and proved that their bodies were not just weak and prot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