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척자』의 결말에서부터 시작하는 서사 - 북한문학의 이광수 평가 변화와 장편소설 『먼 길』(1983) (The novel Mǒn-gil and the change in the evaluation of Lee Kwang-soo in North Korean literatur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1.10
28P 미리보기
『개척자』의 결말에서부터 시작하는 서사 - 북한문학의 이광수 평가 변화와 장편소설 『먼 길』(1983)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85호 / 9 ~ 36페이지
    · 저자명 : 김민선

    초록

    북한에서의 이광수 평가는 1980년대부터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1986년에 발표된 두 권의 문학사에서 이광수는 한계를 가진 작가이지만, 언문일치와 근대적 형식의 소설을 발전시킨 개척자적 작가로서 재평가되었다. 이는 1993년 김정일의 『주체문학론』을 거쳐 이광수에 대한 북한문학의 공식적 평가가 되었다. 이 글은 북한문학에서 이광수의 평가 변화의 시작점이었던 두 편의 문학사를 직접적으로 검토하는 대신, 1980년대 북한에서 발표된 텍스트를 통해 이광수의 문학과 마주하는 북한문학의 욕망을 읽어내고자 한다.
    따라서 이 글은 정창윤의 장편소설 『먼 길』(1983)에 주목하여 1980년대 북한문학이 외연을 확장하며 이광수의 문학을 포용하는 맥락을 살핀다. 이 장편소설에는 북한문학사에서 평가하는 이광수 문학의 중요 장면들이 활용될 뿐만 아니라, 실패한 선배 과학자의 실험에서부터 시작한다는 점에서 북한문학에서 흔하지 않은 서사를 선택하고 있다. 이 소설은 후배 과학자가 선배 과학자의 실패를 이해하고, 변절자가 최고 권위자의 용서를 얻는 소설의 장치를 통해 이광수 문학을 바라보는 당시 북한문학의 시선과 욕망을 드러낸다. 1980년대 북한 문학장의 외연 확장과 권위적 담론의 해석과 포섭의 과정, ‘조선현대소설’의 맥락 속에서 그 자신의 위치를 맥락화하고자 하는 욕망. 정창윤의 장편소설 『먼 길』』과 당대의 북한문학이 호명한 이광수는 이러한 복잡다단한 변화와 전략 속에 놓여 있었다.

    영어초록

    The evaluation of Lee Kwang-soo in North Korea began to change in the 1980s. In the history of two volumes of literature published in 1986, Lee Kwang-soo was a writer with limitations, but was reevaluated as a pioneer writer who developed literary agreement and modern forms of novels. This became an official evalua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on Lee Kwang-soo after Kim Jong-il's Theory of Subject Literature in 1993. Instead of directly reviewing the two literary history,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Lee Kwang-soo's change in evaluation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is article aims to read Lee Kwang-soo's desire to face literature through text published in North Korea in the 1980s.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Jǒng Chang-yun's feature novel, Mǒn-gil (1983), and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North Korean literature expanded its extension in the 1980s and embraced Lee Kwang-soo's literature. In this novel, important scenes of Lee Kwang-soo's literature evaluated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re not only utilized, but also from the experiment of a senior scientist who failed, so he chooses a narrative that is not common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is novel reveals the perspective and desire of North Korean literature at the time when Lee Kwang-soo looked at literature through the story of the renegade getting forgiveness from the highest authority. Jǒng Chang-yun's novel and Lee Kwang-soo were in a complex context,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field in the 1980s,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inclusion of authoritative discourse, and the desire to contextualize his position in the context of “Chosǒn Modern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