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페이스북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역할 (The Role of Customer Engagement in Facebook Brand Communiti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6.04
27P 미리보기
페이스북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45권 / 2호 / 659 ~ 685페이지
    · 저자명 : 신현철, 변숙은

    초록

    최근 전세계적으로 소셜미디어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도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창구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관찰되고 있다. 페이스북에서 브랜드 팬 페이지를 개설하는 것이 그의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이러한 소셜미디어 브랜드 커뮤니티 운영이 어떠한 마케팅적 가치가 있는가에 대한 실증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고객의 자발적 동기에 의해 유발되어 브랜드와 상호작용하는 활동, 즉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마케팅적 역할을 살펴보고자 브랜드 팬 페이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결과, 브랜드 팬 페이지에서 인게이지먼트 활동을 적극 수행할수록 브랜드 애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검증결과, 그러한 인게이지먼트 활동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가 평소 브랜드와의 직접적 경험이 부족했을때 더욱 중요해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브랜드와 소비자의 자아 일치성이 낮은 상황에서 인게이지먼트의 역할이 더욱커질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수준 5% 이내에서 지지되지 못하였다. 또한, 브랜드 팬 페이지를 방문하는 다양한 동기들 중특히 타인과의 관계 형성 및 기업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고려할수록 인게이지먼트 수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본 연구는 오랜 시간에 걸친 기업과 고객의 상호작용으로 형성이 되는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고객인게이지먼트 활동을 통해서 증가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기업들은 브랜드 팬 페이지 운영 시 단순 흥미 유발 컨텐츠를 통해 소비자들의 방문을 유도하기 보다는 소비자들의 질의에 적극적으로 반응을 하고 소비자들간의 의견 교환을 활성화 하는 등 개방된 의사소통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소비자들의 인게이지먼트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브랜드 애착 형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브랜드 커뮤니티, 특히 브랜드 팬 페이지에 대한 기업의 투자 당위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In response to a sharp increase in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social media have received great attention of marketers as a new communication channel for brand management. Building brand fan-pages on Facebook is a good example. Brand communities on social media enable more interactive communications among the participants compared to other community platforms.
    Meanwhile, there were few empirical studies that showed unique business values of brand communities on social media.
    To this end, the current study examined if engaging customers in a brand community on social media is useful for increasing the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the customers and the brand. Unlike brand attitude or satisfaction, creating brand attachment requires repetitive good experiences with the brand. Thus, it was hypothesized that customers’ volunteered and continual interactions in a brand fan-page, namely engagement, can also increase their emotional attachment toward the brand.
    To test our proposed research model, an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users of brand fan-pages on Facebook. Out of 268 responses, 222 valid samples were used for our final analysis after eliminating unresponsive and unreliable responses. This study was interested in the behavioral aspect of customer engagement thus the construct was measured by the level of making posts or comments, sharing brand contents with friends, and participating in brand promotion activities on the target brand fan-page. As the engagement level was measured by its behavioral aspect, common method variance was able to be minimized when testing its relationship with emotional brand attachment.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brand fan-page engagement behavior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band attachment(b= .586). According to the result of our multi-group analysis, such relationship was negatively moderated by the level of direct brand experiences (p=.027). It implicates that the role of engagement is more meaningful when consumers don’t have enough brand experience off-line yet. In contrast, the moderating role of self-image congruence was not supported at the five percent level.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types of user motivation which facilitate consumer engagement on brand fan-pages. Consumers were hypothesized to use brand fan-pages for information value, hedonic value, monetary benefits such as coupons, self-image presentation, communicate with the brand, and social connection with other fans. The result of our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types of motivation, except for hedonic value,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engagement behavior.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 that resulted in customer engagement on fan-pages was the one for two-way communications. In short, consumers seemed to engage more actively in brand fan-pages as they had stronger motivation to share opinions about the brand with other fans and to communicate with the company.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who want to manage brand communities on social media as a useful tool for increasing their brand asset. Creating hedonic contents on brand fan-pages might be able to attract consumers to visit the page in the short-term while our analysis showed that such approach is not effective for making consumers more engaged on the brand community aiming for brand attachment creation. The current study has its unique value in that it is one of the first empirical studies that showed the marketing value of brand communities on social me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