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林湖 朴守儉의 트라우머와 莊子哲學 — 치유담론으로서의 『장자』에 대한 역사적 사례 — (The trauma and Zhuangzi philosophy(莊子哲學) of Imho(林湖) Park Soo-geom (朴守儉) - A historical case on 『Zhuangzi』 as a discourse on healing)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3.08
35P 미리보기
林湖 朴守儉의 트라우머와 莊子哲學 — 치유담론으로서의 『장자』에 대한 역사적 사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15권 / 103 ~ 137페이지
    · 저자명 : 김종수

    초록

    17세기 중⋅후반을 주요 활동기로 삼았던 임호 박수검은 제천에 연고를 둔 노론계의 관인⋅유자였다. 수학기 적부터 자자한 문명을 떨쳤던 박수검은 20세 때에 진사초시에 합격하는 영예를 안았다. 그러나 이후 약 20여 년간에 이르는 온갖 집안의 불행사들로 인하여 박수검의 과거 합격은 무한정 지연되어 가고만 있었다. 마침내 박수검은 뒤늦은 나이인 44세 때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이미 그의 영혼은 심각한 트라우머에 시달리고 있었다. 때문에 주로 한직과 외직을 전전했던 박수검의 관직생활은 단순한 생계유지의 수단 그 이상의 의미를 발휘하지 못했다. 대신에 박수검은 웅장한 경세에의 포부가 좌절된 데 따른 트라우머로 인하여 늘상 방황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었다. 박수검은 그런 자신을 『장자』 속의 중증 장애인인 지리소로 비유하곤 하였다.
    그런 점에서 수학기 적에 만난 세 번째 스승인 무하옹 이준남은 박수검이 닮아야 할 동일시 모델로 다가섰고, 또한 텍스트 『장자』를 매개⋅인도케 해준 중요한 인물이었다. 박수검이 구축한 장자철학은 <장자소요유제물론이편주해서>로 대변되는 텍스트 『장자』에 대한 해석과 시료로서 『장자』를 원용한 두 국면을 형성하고 있다. 전자가 정주학적 세계 구도인 음양⋅오행론과 역학적 사유가 묘하게 결부된 주해 방식을 선보여 주었다면, 후자의 경우 자신의 트라우머를 드러내고 해소⋅치유하기 위한 의식적 노력과 결부되어 있다. 또한 두 국면 모두 『주역』의 복괘에 내함된 생의[陽]가 투사되어 있는바, 이는 트라우머의 치유를 위한 박수검 나름의 치열한 노력이 반영된 결과였다. 그러나 박수검은 끝끝내 자신 안에 각인된 트라우머를 치유⋅승화시키는 단계로까지는 진입하지를 못했다. 박수검의 경우 『장자』 혹은 장자철학이란 자아 성찰과 세계 확장이라는 새로운 두 계기를 제공해 주었으나, 궁극적인 치유담론으로 기능하지는 못한 것 같다.

    영어초록

    Imho(林湖) Park Soo-geom(朴守儉) could not pass an examination to become a government officer because of various misfortunes which continued for more than 20 years on him. He at last passed a government examination for government officer at the late age of 44 years old; however, his soul was already suffering serious trauma. Therefore, the government officer position of Park Soo-geom was just a way to make ends meet. Park Soo-geom always wandered because of the serious trauma caused by the frustration coming from the failure to realize the big aspiration he had held as a government officer. He frequently compared himself to Jiriso(支離疏), who is a seriously disabled person appearing in the book, 『Zhuangzi(莊子)』.
    The philosophy of Zhuangzi philosophy established by Park Soo-geom can be seen in his two writings quoting the book 『Zhuangzi』 as the material for his poetry and his preface on the two annotations on Soyoyoo (逍遙遊) and Jemullon(齊物論) in the book 『Zhuangzi』(莊子逍遙遊齊物論二篇註解序).
    However, Park Soo-geom could not reach the stage of healing and sublimation of his internal trauma with deep source until the end. Consequently, the philosophy of Zhuangzi established by Park Soo-geom provided him with two opportunities of self-introspection and world-expansion; however, it seems it could not function as an ultimate discourse on hea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