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용에 대한 (생물학적) 접근: 공감의 은유적 맵핑 (An (Biological) Approach to Toleration ―On the Metaphorical Mapping of Empath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4.08
30P 미리보기
관용에 대한 (생물학적) 접근: 공감의 은유적 맵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철학연구 / 17권 / 2호 / 55 ~ 84페이지
    · 저자명 : 김연미

    초록

    관용에 대한 규범적 지형도를 논증하는 것은 어려운(elusive) 것 같다. 관용은 정의나 책임의 원리만큼 명확하지 않다. 16-7세기 자유주의적 관용의 역사적 배경은 종교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일종의 사회생물학적 처방전 내지 자기보존의 정치적 선회였다.
    이 글은 전통적인 객관주의에 따른 이성우위의 사유방식을 쫓아가지 않고, 현대 인지과학이 시사하는 체화된 마음(embodied mind)의 문제를 활용하여 관용에 접근하는 방법을 찾는다. 우선 감성우위의 도덕관념을 통해 관용에 접근한다. 감정에 대한 略史와 현대 인지과학에 의지하여 공감(empathy), 즉 ‘감정이입이라는 도덕’관념을 관용의 기초로 삼는다. 공감을 담당하는 [거울뉴런]의 생물학적 뇌기능에 대한 은유적 맵핑(cross-domains-mapping)을 통해 관용의 보편적 규범성을 탐색한다. [역지사지], 즉 [입장 바꿔 생각하기]라는 은유는 규범적으로 [소극적 황금률]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체험주의 입장에서 [적극적 황금률]을 제시할 여지를 보여준다. 둘째, 통계학이나 약학 등 다른 학문분야에서 사용되는 toleration과 tolerance의 어원적 의미에 착안하여, [항생제], [오차범위 내의 허용수치] 등의 은유적 맵핑을 통해 관용의 한계와 규범적 정당화의 여지를 찾는다. 이러한 접근은 결국 관용을 통해 인간 삶의 부족이나 결핍, 불확실성 등 생물학적 여건을 수용하는 체화된 마음의 이론으로 나타난다. 관용이 바로 환경에 적응된 인간의 마음이라고 할 수 있다. 곧 체화된 마음이 관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관용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이유를 바로 이 체화된 인간의 부족현상에서 찾는다.

    영어초록

    To contour a normative map of toleration as a legal principle seems to be elusive. Toleration is not as certain as justice and responsibility in theory. In the course of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liberal toleration was political turning to survive and a kind of social biological prescription.
    I suppose that toleration depends on an embodied mind. I claim toleration is a metaphorical product. My approach to toleration is based on experientialism of J. Lakoff & M Johnson. To catch toleration in theory, I try two cross-domains mapping. One is the metaphorical mapping based on biology and brain-science, which are source-domains. This brain science shows that mirror-neurons in brain perform a function of empathy. I argue that the empathic function of mirror-neurons means a source of universal normativity as justification. The other is the mapping from etymologic usages of toleration and tolerance in the field of statistics and pharmacy etc. My etymological mapping is to reveal the limit of toleration and zero-toleration. Toleration as an embodied mind is not enough to be justified by empathy. What toleration is embodied in mind means the metaphor to stem from an interaction with cultural environment. I give a few historical and literary examples of J. Locke, Calvin and G.E. Lessing’s Nathan Der Weise, etc.
    My mapping of tolerance in the latter means the metaphor, [the limit of permission within an error range]. Also toleration means [antibiotic] in pharmacy, which is the metaphor of harm. Their metaphors mean [an acceptance of riskiness] for coexistence.
    I focus on empathy as an example of Golden Rule. Empathy is the necessary requirement for legal justication. [If I were you~], I sympathize with your pain and misfortune. If we accept empathy theory, the morality of empathy is not merely negative Golden Rule. We have to get to the toleration as positive Golden Rule. Then toleration arrives at one of our ‘thick’ ethical concepts such as what Bernard Williams called. As brain science and experientialism show to us, we find out if toleration implies empathy from which it get to a responsibility of Golden Rule. Toleration requires to make up a lack of human existence by empat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