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뮤지컬 연기를 위한 배우의 가사 분석 방법론 적용에 관한 연구 -뮤지컬 <서편제>의 ‘기타맨’을 중심으로 (A study on actors' applying the methodology of lyric analysis for musical performance -Focusing on 'the Guitar man' in Korea Musical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3.09
42P 미리보기
뮤지컬 연기를 위한 배우의 가사 분석 방법론 적용에 관한 연구 -뮤지컬 &lt;서편제&gt;의 ‘기타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41호 / 211 ~ 252페이지
    · 저자명 : 이계창

    초록

    뮤지컬은 이제 우리나라의 공연예술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르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 속에서도 뮤지컬 연기를 위한 연구 및 논의는 특정 뮤지컬 작품의 캐릭터 구축을 위한 기존의 연기 메소드의 적용에 편중되어있거나, 음악과 안무를 연구자의 전공에 따라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경향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뮤지컬배우가 어떻게 하면 음악이라는 틀 안에서 일상생활에서처럼 자연스럽고 자발적인 상태로 등장인물을 연기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고민의 해결을 위한 시작점을 가사 분석 방법론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그 이유는 연기란 텍스트의 분석 작업을 통한 작품 세계의 이해를 밑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뮤지컬에서 텍스트란 작가의 대본뿐만 아니라 작사가, 작곡가 그리고 안무가가 제공한 모두를 지칭한다.
    본 연구는 뮤지컬의 다양한 텍스트 가운데 뮤지컬 노래의 가사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뮤지컬에서 노래는 대화의 연장이자 확대, 강화이다. 대화란 이야기를 나눈다는 의미이고, 이는 ‘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뮤지컬에서는 가사를 통해 캐릭터의 생각과 진실을 표현하기 때문에 뮤지컬배우는 가사 분석을 위한 특별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는 조광화 극본, 윤일상 작곡의 창작뮤지컬 <서편제>의 수록곡 ‘기타맨’을 대상으로 뮤지컬 가사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한 접근 방법으로는 조 디어와 로코 달 베라가 제안하고 있는 가사 분석 방법론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재정립한 음운론적 접근과 의미론적 접근을 통한 분석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가사 분석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캐릭터의 생각과 감정이 반드시 음악의 리듬과 가사의 의미 속에만 담겨있는 것이 아니며, 단어의 소리와 그로 인한 운율에도 캐릭터와 작품 세계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뮤지컬 배우는 정확한 목적을 가지고 뮤지컬 노래를 부를 때, ‘말하듯이 노래하라’는 뮤지컬 가창의 기본 명제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Musical became the most popular genre among various forms of performing arts in Korea. In spite of this development, studies and discussions on musical performance have been focused on existing acting method for characterization in particular works, or analyzing musical or choreographical elements according to researchers academic affiliations.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how musical actors can perform their role in natural, independent manner as they do in their real lives. I would seek the answer for the question in the methodology of lyric analysis as a starting point. Actors' acting are based on understanding of works through the analyses of the texts. Text in musical means not only writers' scripts, but also everything offered by lyricist, composer and choreographer.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lyrics of musical songs among various kinds of musical texts. In performance of musical, songs are extension, magnification and enforcement of dialogues. Dialogue means exchange of words,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language'. Since characters's thoughts are expressed through lyrics in performance of musical, musical actors need a methodology in order to analyze the lyrics.
    The data for this study is the lyrics of 'the Guitar man', a song played in the creative musical titled <Seo Pyeon Je>, which is written by Cho Kwang Hwa and composed by Yoon Il Sang. The method appli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Joe Deer and Rocco Dal Vera's lyric analysis. However, phonological and semantic approach that I revised from the original theory is applied for the discussion.
    In conclusion, characters thoughts and sentiments are not exclusively contained in the rhythm of music and the meaning of lyrics, but the sounds of words and their meters can carry information on characters and works. In addition, it has become clear that musical actors can fulfil the basic task of 'sing as you say' when they have conspicuous inten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