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련사 예수시왕생칠재의 범맥과 예술적 세계 (The chanting later lineage and the performing art of Yesujae ritual in Cheongyeon Templ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9.06
35P 미리보기
청련사 예수시왕생칠재의 범맥과 예술적 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66호 / 45 ~ 79페이지
    · 저자명 : 윤소희

    초록

    예로부터 왕실 비보를 위한 많은 재의식을 해 왔던 왕십리 안정사(청련사)는 도시 개발로 인하여 양주시 개명산 자락의 넓은 도량으로 옮겨와 의례 전승의 새로운 활기를 펼치고 있다. 경산제 범맥 중에 동교 계열이었던 안정사의 범맥은 해능스님(1892~1979)으로부터 현재 청련사의 원로 해경, 지홍스님, 중진 벽산, 심곡스님, 어장 상진스님으로 이어지고 있어 전통 계승의 기반이 확실하다.
    청련사예수재는 바깥채비인 짓소리 ․ 홑소리, 안채비의 다양한 율조가 수반된다. 이러한 의례 율조 중 특히 부각되는 것은 한국의 조사들에 의해 쓰여진 의문을 한국적 선율로 짓는 향풍범패이다. 방대한 설단의 수륙재나 영산작법의 장엄한 범패가 중심이 되는 영산재와 달리 예수재는 한국화된 재의식으로 재자 자신을 위한 정토발원과 성취를 위한 범패가 중요하다. 청련사 어장 상진스님은 편안하고 원만한 성음을 지니고 있어 장엄염불과 축원 화청, 회심곡 등의 향풍 범패와 특히 잘 어울린다. 향풍 범패로 분류되는 이들 율조는 일자일음의 장단 절주여서 대중과의 소통이 쉽고, 한국전통음악과의 관련성에도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청련사예수재 악사들의 음악을 지휘하는 위재영은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로써 벽응스님, 상진스님으로 이어지는 호적가락을 전수 받아 제자들과 함께 예수재 음악에 참여하고 있다. 범패와 작법무, 법구 타주까지 청련사예수시왕생칠재에 수반되는 모든 재원은 자체적 교육기관인 안정불교대학을 통하여 양성된다. 의례 전반에 걸쳐 강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전승 기반의 확립 뿐 아니라 의례 악가무의 완성도에 있어서도 높이 평가할만하다.

    영어초록

    Anjeong(Cheongyeon) temple in Wangsimli, Seoul, which was an assistant temple of the royal Josun court, has long carried out rituals and prayer services for the wellbeing of both royal and ordinary people. When the wangsimli area was urbanized, the temple was relocated to the foot of Gaemyeong mountain in Yangju-si, Gyeonggi-province, near Seoul. Thereafter, the temple became an expanded seminary for Buddhist rituals. Ritual performances retained greater fealty to tradition, being held in apter conditions for passing down. The chanting master Ven Sangjin passed on the tradition of the later lineage of the Anjeong temple, training and educating his disciples.
    The special point in the Yesujae ritual, during which prayers are offered seeking the accession to heaven of Cheongyeon temple members, is the Hyangpung Beompae, Korean native style Buddhist chants. The text of the chants were written by a venerated Korean priest, and whilst the melody is syllabic, the rhythm is of a traditional Korean rhythmic pattern, unlike the Dangpung Beompae with its Chinese melisma melody. The chanting master Ven Sangjin of Cheongnyeonsa is especially renowned for Hyangpung Beompae, such as the Jangeom Yeombul, Chukwon Hoacheong, and Hoisimgok. His speciality appeals because the chants are popular to Korean Buddhists. Recalling his mentor master’s words, that the Hangpung Beompae has been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from the Silla Dynasty, thus making it an intrinsic Korean Buddhist song, he has trained in it constantly.
    Ven Sangjin also learned the Korean trumpet, the Hojeok, from Ven Byeokeung (the 50th cultural asset o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and then passed it down to musician Wijaeyeong, head of the band of Cheongyeon temple. All members who sing, recite, dance, or play musical instruments are trained through the Anjeong Buddhist Art Institute, established in Cheongyeon temple. It is very important as a basic point of agreement that training, education, and succession make near perfect the ritual perform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