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회화의 복제와 파생에 대한 일고찰 ― 휘종의 매 그림 유행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production and Derivation of East Asian Paintings ― Focused on Prevalence of Huizong's Hawk Painting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3.09
32P 미리보기
동아시아 회화의 복제와 파생에 대한 일고찰 ― 휘종의 매 그림 유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83호 / 131 ~ 162페이지
    · 저자명 : 고연희

    초록

    北宋의 마지막 황제 徽宗(재위 1100~1125)이 그렸다는 흰매 그림, ‘徽宗白鷹圖’가 16~17세기의 조선, 중국, 일본의 도시에서 널리 유통되었다. 17세기의 조선의 문헌기록에 의거하면, 한․중․일에 유포되어 있던 휘종 매 그림은 白鷹+架上의 이미지 위에 蔡攸의 제발이 적혀 있는 화면이다. 휘종 매 그림의 유통 이유는, 중국 조선의 문헌기록에 따르면, 휘종의 매 그림의 주술적 辟邪기능이 인정되었기 때문이며, 이를 배경으로 매 그림 부적이 만들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현전하는 전칭 휘종 작 매 그림들은 백응이 횃대에 비스듬히 앉은 것도 있고 꼿꼿하게 앉아 것도 있고 혹은 바위에 앉은 것과 백응이 아닌 蒼鷹이나 黃鷹으로 그려진 것도 있다. 그림 위의 제발은 채유 외에도 蔡京, 何執中 등의 동시대 학자들이거나 휘종의 글이 적힌 것도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휘종의 매 그림이 거듭 모사되면서 발생한 불가피한 변모현상이었다. 복제가 거듭된 이유는 휘종 매 그림에 대한 需要가 많았기 때문이다.
    휘종 매 그림 모사본의 유행과 수요의 양상 속에서 회화사적 파생이 진행되었다. 18세기 조선에서 거듭 판각되어 제작된 매 그림으로 太宗이 李天祐에게 하사한 白鷹․蒼鷹의 가상응도가 판화와 회화로 거듭 제작되었다. 태종 하사 매 그림의 제작과 유통은 휘종 매 그림의 복제파급과 유사한 문화현상이다. 영험한 매 이미지의 辟邪 기능에 대한 믿음이 유포되어 있었던 분위기 속에서 조선의 왕이 조선의 신하에게 내린 어응도가 휘종 매 그림과 유사한 기능으로 인정받았던 것이다.
    아울러, 매 그림 모사의 성행 속에서 동일한 이미지의 매 그림이 복제되어 여러 화가의 작품으로 호칭되었던 현상도 살필 수 있었다. 예컨대 조선 16세기 李巖의 전칭작, 중국 18세기 郎世寧의 전칭작, 그리고 북송대 휘종의 전칭작으로 통하는 매 그림들이 거의 일치한다. 이러한 현상은 매 그림의 복제 속에서 제조된 매 그림들이 주술성보다는 유명화가의 이름으로 그림가치가 높아지는 시절을 맞이하여 만들어진 양상으로, 매 그림의 주술적 위력이 만연하던 시절의 흔적이다.

    영어초록

    It seems intriguing that hawk paintings of Huizong were appreciated here and there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It was an almost sudden appearance, because it was five hundred years after Huizong, the last emperor of the North Song dynasty, died. According to literary documents of Korea and China, the paintings show a white hawk on a perch and an inscription by Cai you, a retainer of Huizong. The documents explain that the people in those days believed that Huizong’a hawk painting had magical power to exorcise evil spirits and that talisman of hawk painting was related to Huizong’s.
    Many hawk paintings by Huizong are extant, showing various images of hawks in color and posture. This changed hawk images were unavoidable, as many reproduction occurred. The various images are an evidence of increased demands for Huizong’s hawk painting at that time.
    In this situation the spin-off painting culture from the Huizong’s hawk painting showed up. For example, paintings and prints of a pair of hawk, white and blue, presented by Taezong, a King of Choson Dynasty, were very polpular in the eighteenth century of Korea. The re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e image of Taezong’s hawk seem similar to those of Huizong’s. It would mean that Taezong’s hawk image was believed as talismanically functionalized painting like Huizong’s.
    Besides, it is understandable in this context of reproductions and derivations that paintings of almost same images are attributed to several different famous painters. A hawk painting by Yi am of Choson, one by Lang shining of Qing, and another by Huizong show all the very similar hawk and even the same meandering of red twines under the hawks of these three paintings. These paintings must have been produced in the reproduction process and then obtained the names of well-known famous painters after the time of belief in the magical function of hawk painting pa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