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중반-1980년대 한국가톨릭농민운동의 발전과 독일여성 마리아 사일러(Maria Sailer)의 역할 - 국제기독교기구의 개발 원조를 통한 관계망 구축과 확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he Korean Catholic Peasant Movement and the Role of German Woman Maria Sailer from the 1960s to the Mid-1980s: A Study Focusing on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Network through Develo)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3.03
44P 미리보기
1960년대 중반-1980년대 한국가톨릭농민운동의 발전과 독일여성 마리아 사일러(Maria Sailer)의 역할 - 국제기독교기구의 개발 원조를 통한 관계망 구축과 확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14호 / 329 ~ 372페이지
    · 저자명 : 윤정란

    초록

    본고는 1965년 내한해서 1994년 독일로 돌아간 독일 여성 마리아 사일러를 중심으로 1960년대 이후 한국농민운동의 발전과 국제적 관계에대해 살펴보았다.
    마리아가 1960년대 중반 한국으로 온 이유는 서독 학생운동 전개, 뮌헨의 제3세계 학생들과의 교류, 서독 가톨릭의 제3세계에 대한 관심 등이었다. 그리고 결정적인 계기는 파독광부와의 만남이었다.
    마리아는 1968년부터 한국가톨릭농촌청년회에서 활동하면서 국제적인 관계망을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국제적인 관계망 구축은 국제가톨릭농촌청년회인 미작 회원으로 1971년에 가입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국제가톨릭농촌청년회인 미작과 실질적인 관계 형성은 마리아가 국제협력업무를 전담하기 시작하면서였다. 이후 국제가톨릭농민운동의 방향에따라 한국가톨릭농민운동도 인간개발과 사회개발에 중점을 둔 방향으로나아갔다.
    한국가톨릭농민회가 미작 회원이 된 후에 국제기독교관계망은 확대되었다. 서독, 네덜란드, 호주와 캐나다의 APHD, 영국 크리스천 에이드, 인도, 필리핀, 월남 등의 기독교기구들과 국제적으로 연대하였다. 개발원조지원은 서독, 네덜란드, APHD, 크리스천 에이드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서독 가톨릭은 한국가톨릭농민회의 예산액을 거의 담당하였다. 서독의 지원은 서독 동부지역 파더보른교구 KLJB와 미제레오에서 담당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네덜란드 세베모와의 연대였다. APHD는 1977년부터 재정적 지원을 시작했다.
    한국가톨릭농민회는 한국농촌에 대한 구체적인자료 등을 보냈으며, 회원들은 APHD 세미나, 현장 체험, 회원단체의 행사 등에 참석함으로써 한국농민운동을 발전시켰다. 마지막으로 들 수 있는 국제기구는 크리스천 에이드였다. 1978년 크리스천 에이드는 미작을통해 한국 가톨릭농민운동의 지역발전 프로젝트를 위한 지원금을 보냈는데 주로 여성자원개발과 관련된 것이었다.
    이와 같이 마리아는 한국가톨릭농민운동의 국제적인 관계망 구축뿐만아니라 한국여성농민운동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Korean peasant movement since the 1960s with the case of Maria Seiler, a German woman who visited Korea in 1965 and returned to Germany in 1994. Maria came to Korea in the mid-1960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West German student movement, exchanges with Third World students in Munich, and West German Catholics' interest in the 'the Third World'.
    Her decisive visit to Korea was a meeting with a Korean miner dispatched to Germany.
    Since 1968, Maria has been active in the 'Korea Catholic Rural Youth Association' and has begun to build an international network. Her global network of connections came when she joined in 1971 as a MIJARC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atholic Rural Youth Association. The formation of a practical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tional Catholic Rural Youth Association' began when Maria was entirely in charg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llowing the direction of the 'International Catholic Farmers' Movement', the 'Korean Catholic Farmers Movement(KCFM)' also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human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After the KCFM became a MIJARC member, the international Catholic network expanded. There were International solidarities with Christian organizations such as West Germany, the Netherlands, APHD in Australia and Canada, British Christian Aid, India, the Philippines, and Vietnam.
    Development assistance in Korea was provided by West Germany, the Netherlands, APHD, and Christian Aid. West German Catholics provided most of the budget for the KCFM. Support from West Germany was handled by 'the Archdiocese of Paderborn' (KLJB) and 'Misereor' in the eastern part of West Germany. Next, it was an alliance with the Dutch CEBEMO. APHD began providing financial support in 1977. The KCFM sent detailed materials about the Korean countryside to it, and its members developed the Korean Farmers Movement by attending APHD seminars, field experiences, and events of member organizations. The last international organization to mention was 'British Christian Aid'. In 1978, the organization sent funds to Korea for local development projects of the Korean Catholic Farmers' Movement through MIJARC, mainly related to women's resource development.
    With these aids, Mari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Korean Women's Farmers' Movement as well as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network of the Korean Catholic Farmers'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