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발달장애인 고용 관련 언론 기사 트렌드 및 의미망 분석 연구: 2008∼2022 (A Study on the Trend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Media Articles on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Text Mining: 2008∼2022)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3.08
26P 미리보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발달장애인 고용 관련 언론 기사 트렌드 및 의미망 분석 연구: 2008∼2022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장애와 고용 / 33권 / 3호 / 33 ~ 58페이지
    · 저자명 : 신현욱

    초록

    연구목적: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해 발달장애인 고용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언론 기사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이슈 및 트렌드를 살펴보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8년부터 2022년까지를 3주기(각 5년)로 구분하여 빅카인즈 시스템을 적용하여 텍스트 의미망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주기(2008년∼2012년)에서는 발달장애인 고용에 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및 중요성 부각, 정부와 지자체에서 일자리 지원을 위한 정책과 제도의 개선 그리고 민간 부문의 점진적 사업 추진의 모습이 나타났다. 2주기(2013년∼2017년)는 장애인 권리 보호와 복지 증진에 대한 법적 근거마련 시기로서 특히, 발달장애인 지원법 제정 이후 정부·지자체·공공기관 뿐 아니라 민간 섹터의 다양한 고용 프로그램 및 취업 지원 강화 노력들이 나타났다. 3주기(2018년∼2022년)는 코로나19로 인한 위기에도 불구하고 발달장애인 고용은 지속적으로 확산되었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ESG 경영이 강조되면서, 민간 및 공공 섹터의 고용을 위한 협력이 더욱 강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발전 방향으로서는 첫째, 발달장애인의 고용을 지속시킬 수 있는 통합 대응체계 구축 및 지속적 언론의 관심·홍보활동 증진, 둘째, 발달장애인 고용의 임금 및 삶의 질 차이 등을 고려한 질적 부분에 대한 점검 및 향상 노력, 마지막으로 중증 발달장애인 고용 증진을 위한 전문가에 대한 교육 및 투자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media articles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sing text mining, and to explore various issues and trend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ment. Method: We divided the period from 2008 to 2022 into three periods (each 5 years) and applied the BigKinds system to conduct text semantic network an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In the first period (2008-2012), there was a change in social awareness of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n emphasis on their importanc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mproved their policies and systems to support employment, and the private sector gradually implemented projects. The second period (2013-2017) was a time to establish legal grounds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welfa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after the enactment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Act, various employment programs and employment support efforts were strengthened not only by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by the private sector. In the third period (2018-2022), despite the crisis caused by COVID-19,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tinued to expand.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SG management were emphasized, cooperation for employment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was further strengthen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development were suggested: First, the construction of an integrated response system that can sustain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promotion of continuous media attention and publicity activities. Second, the qualitative aspects of employment, such as wages and quality of life, are checked and improved. Finally, the need for education and investment in experts for the promotion of employment of people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