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북한 사회통합 - 노동시장과 사회적 안전망 관련법의 통합을 중심으로 (Social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Focused on the Labour Market Law and Building of Social Safety Net)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7.01
24P 미리보기
남북한 사회통합 - 노동시장과 사회적 안전망 관련법의 통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북아법연구 / 10권 / 3호 / 217 ~ 240페이지
    · 저자명 : 이호근

    초록

    남북한 ‘사회통합’은 남북한 간 통합의 핵심 ‘이유’이자 동시에 가장 달성하기 어려운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온 남북한 간 적대적 대립과 대치의 상황이 향후 어떠한 변화와 도전에 처할지는 전망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남북한 사회통합의 가능성과 방안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그간 ‘체제’통합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남북한 통합논의와 달리, 사실 ‘가치’통합과 ‘사회적’ 통합이 전제되지 않는 한 진정한 통합이라고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회통합은 통합논의의 핵심에 서 있다. 1990년대 이후 남북한 사회통합에 대한 논의는 1990-1997년까지 냉전종결과 동서독 통일 등 외부환경의 변화 속에 1992년 남북기본합의서 체결과 그 이후의 제1시기, 그리고 그 다음 1998~2007년까지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를 거치며 이른바 햇볕정책시기 통합에 대한 기대와 논의가 일정한 양적·질적 확대의 단계를 거친 제2시기, 이후 2008~2017년 현재 다시 북한의 핵과 장거리 미사일 실험 등 남북한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며 결국 2016년 2월 개성공단 폐쇄로 이어져 현재에 이르고 있는 제3시기로 구분된다고 본다. 남북한 통합에 대한 논의도 현재에는 2000년대 중반이후 증가한 ‘탈북민의 남한사회에의 통합’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주요 논의의 방향과 내용이 변화해 왔다고 본다.
    논문은 궁극적으로 체제가 상이한 남북한의 사회통합은 우선 경제 질서와 노동시장의 형성과 사회적 안전망의 구축이 결국 ‘수정시장경제’ 기반 위에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남북한 사회통합 시 예상되는 사회국가와 ‘사회적 연대성’ 원칙하에 사회보장·사회복지의 기본원리를 검토한다. 아울러, 노동시장의 형성과 준수되어야 할 기본원리를 검토한다. 그리고 사회적 안정망관련 급여의 대상 및 계상방법, 급여의 종류 및 급여의 수준과 지급기간, 재정부담 방식 등의 필요한 통합적 기반을 순차적으로 검토한다. 동시에, 논문은 현실적인 차원에서 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하여 우선 남한 내 탈북민의 성공적인 사회통합의 기반을 마련하고, 그 다음 남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과도기의 긴급구호 및 관련 재원을 마련하며, 그리고 제도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부분부터 단계적인 통합노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Social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the ‘key motivation’ for the integration of two different systems and most difficult ‘untimate purpose’ to achieve. Beside the discussion on the so-called system-integration (political and economical), any unification could not be the genuine one without ‘value inte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Periodically, the debate on the social integration since the early 1990s, it could be devided in three times. The first one was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cold war, the historical german unification and the ‘Basic Agreement between two Koreas 1992’ and thereafter until 1997. The second one was the expansion time of exchange cooperation, in which the Kim Dae-Jung and Noh Moo-Hyun governments began to initiate the reconciliation under the so-called “Sunshine Policy” or “Engagement Policy” against the formerly confrontation policy between two Koreas. The third one is the returned age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due to the repeated tests of nuclear and inter-continental missiles at the side of North Korea, which resulted into the frustrating shutdown of the Kaesung Industrial Complex. The important issue in Korea has been the urgent integration of the increasing refugees from North Korea into the South Korean Society, instead of the social integration between two Koreas.
    The article prospects the future of social integration of the two different systems on the making of labour market and the building of social safety net under the ‘revised market economy’. Especially, it stresses on the making of ‘social state’ or ‘welfare state’ under the principle of strong ‘social solidarity’. At the same time, the article examines the basic principles to be kept in the labour market.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hecked up such as the object of social benefit and its proper level, the forms of benefits and their durations, including the method of accounting and the delivery system of social services etc. In conclusion, the article emphasizes first the integration of the refugees into the south korean society, secondly, the emergency relief system and building of financial funds for the socially vulnerable groups, finally the ‘gradual’ approach from the relatively similar spheres to the most difficult 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북아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