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그나가의 아포하론에 있어 ‘말의 의미’(śabdārtha) -‘푸른 연꽃’(nīlotpala)과 ‘까마귀 둥지’(kākanilaya)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Dignāga’s apohavāda on a Word’s Meaning― Focusing on the analyses of nīlotpala and kākanilaya)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8.12
21P 미리보기
디그나가의 아포하론에 있어 ‘말의 의미’(śabdārtha) -‘푸른 연꽃’(nīlotpala)과 ‘까마귀 둥지’(kākanilaya)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57권 / 261 ~ 281페이지
    · 저자명 : 박대용

    초록

    우리의 일상적 언어 행위(vyāvahāra)는 무엇에 대한 지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말(śabda)이 어떤 구성 원리에 따라 ‘자신의 의미’(svārtha)를 정확히 지시・표현・전달・현현하는가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디그나가(Dignāga)는 자신의 『쁘라마나삼웃짜야(브릿띠)』(Pramāṇasamuccaya(vṛtti), 이하 PS(V)) 제5장에서 타 학파 논사인 바르뜨리하리(Bhartṛhari)의 『바키야빠디야』(Vākyapadīya, 이하 VP)에서 몇 개의 게송을 인용[삽입]함으로써 그의 독창적 아포하(apoha)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한편 바르뜨리하리는 VP에서 복합어 ‘검은 참깨’(kṛṣṇatila)의 사례를 들어 두 개의 말들이 갖는 ‘한정자-피한정자의 관계’(viśeṣaṇaviśeṣyabhāva)나 혹은 ‘동일지시대상’ (sāmānādhikaraṇya)의 난제를 해결하는 반면, 디그나가는 PS(V)에서 복합어 ‘푸른 연꽃’(nīlotpala)의 사례를 들어 서로 다른 두 말들의 결합 실현가능성(sambandhasaukarya)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PS(V) 5.36d에서 디그나가는 자신의 아포하 이론은 바르뜨리하리의 ‘보편의 담지자’(tadvat) 견해가 갖는 네 가지 오류(doṣa)들이 전혀 없는 탁월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guṇotkarṣāt) 말은 타자의 배제를 통해 그 대상(viṣaya)을 표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arthāntaranivṛttiviśiṣṭān). 그러나 여기에서 그의 이론이 갖는 기능적 측면에 대한 반론자의 비판이 예상된다. 즉, 두 개의 말들로 구성된 복합어에서 ‘이중 배제’로 인해 하나의 동일지시대상을 타당하게 표현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필자는 이 논문에서 디그나가가 ‘푸른 연꽃’과 ‘까마귀 둥지’ 등의 사례 분석을 통해 어떻게 이 난제를 극복하고, 또한 그가 말하는 진정한 ‘말의 의미’에 대해 구명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observe Dignāga’s apohavāda on a word’s meaning (śabdārtha) to act successfully between the relations of qualifier-qualificand (viśeṣaṇaviśeṣyabhāva) and the relations of co‐referentiality or co‐occurrence (sāmānādhikaraṇya), which happens to raise difficulties of two indivisible words applied to a certain object (viṣaya).
    As we know, Dignāga’ apoha theory is such that a word denotes its own meaning (svārtha) by resorting to the exclusion of others (arthāntarāpoha), which is its basis [=locus] for application (pravṛttinimitta).
    In the compound nīlotpala, the former nīla is a word for a common meaning (sāmānyaśabda) in which it denotes something blue, while the latter utpala is a word for a specific meaning (viśeṣaśabda) in which it characterizes a particular lotus. Each of them has the exclusion of others respectively through apoha’s function, namely, the exclusion of non‐blue things and that of non‐lotuses. A question arises: How could the exclusion of non‐blue things and that of non‐lotuses be identical with the same object which consist in exclusively two kinds of exclusion; how could the two different words establish the relation of qualifier-qualificand and that of co‐referentiality? To resolve these difficulties, Dignāga discusses in PS(V) 5.14 that the exclusion of non‐blue things and that of non‐lotu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the non‐blue things and the non‐loutses, which are what is to be exclud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wo different words with different meanings can thus have be established such relations by his original theory.
    Conclusionally, in PS(V) 5.36d Dignāga argues that his apoha theory is superior to (guṇotkarṣāt) other schools’ tadvat theory because of non-existence of four mistakes (doṣa) on word’s meaning (śabdārtha), and therefore a word could denote things exclusively as qualified by the exclusion of others (arthāntaranivṛttiviśiṣṭā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