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살자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변화 사례 연구 -소설 『우아한 거짓말』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 (A Changes in Adolescent Perceptions of Suicide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Literary Therapy Using 『Thread Of Lie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9.07
48P 미리보기
자살자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변화 사례 연구 -소설 『우아한 거짓말』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52권 / 37 ~ 84페이지
    · 저자명 : 김경희, 김혜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이 자살자 심리와 자살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살자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변화를 꾀하고, 이를 통해 제3자에 의한 자살 예방의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청소년 자살예방 문학치료를 설계하고 실행한 사례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살과 자살자에 대한 청소년들의 기존의 인식에 변화를 꾀하고 이를 통해 제3자의 자살 예방의 행동을 견인하는 데 있다. 이런 목표를 위해 문학치료를 선택한 이유는 문학치료학에서는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그 행동을 지지하고 있는 기반인 자기서사가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에 2장에서는 『우아한 거짓말』의 서사의 주체의 거짓말 방어기제를 중심으로 자살에 이르는 과정을 밝혔다. 자살자 천지를 중심으로 자살자의 심리상태를 ‘천지가 거짓말을 사용하지 않는 단계’, ‘천지가 거짓말을 방어기제로 사용하는 단계’, ‘천지가 거짓말을 사용할 수 없는 단계’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1단계에서는 천지의 자기 표현이 수용되지 않는 이유, 2단계에서는 거짓말이 발생되는 원리와 거짓말을 하는 의도, 그리고 거짓말을 방어기제로 쓰는 이유, 또 3단계에서는 방어기제가 무너지는 이유와 그 후의 자살에 이르는 과정에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후 3장에서는 2장에서 진행된『우아한 거짓말』의 분석을 통하여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청소년과 함께 문학치료를 수행하는 목적은 청소년이 직면할 수 있는 청소년 자살자의 상황과 심경을 이해하고 그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자살자의 자기서사에 접속하고 공명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자기서사를 변화할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청소년들은 천지의 문제해결 노력을 하나씩 찾아내면서 천지가 소심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청소년들은 천지가 화연이 무리에게 ‘싫다’, ‘하지 말라’, 그리고 ‘잘못’이라는 했지만, 거대한 집단을 혼자 힘으로는 대항할 수 없다는 점을 이해해 나갔다. 특히 천지가 거짓말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과 거짓말의 숨은 의도를 찾아내면서 거짓말이 방어기제로 작동하는 원리를 알아냈다. 이런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천지의 현실적 고통의 무게와 그에 대응하여 자신을 보호하려는 천지의 노력에 크게 공감하였다. 다음으로 청소년들은 자살과 관련된 천지의 감정도 이해하는 길이 열렸다. 청소년들은 천지의 외로움과 우울, 무망감과 인지적 몰락 등 자살의 징후를 찾아냈다. 이후 청소년들은 천지를 지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마지막 의견을 주고받았다. 자살자에 대한 제3자의 ‘이해와 공감’이 자살자의 자살 징후를 알아차리고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는 자살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라는 인식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인식의 변화가 행동을 견인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자살자의 자기서사에 접속하는 데 어려움은 없었다. 이를 통해 자살위기에 몰린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지점을 찾아내고 도울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고, 서사 수행 전과는 다르게 행동 변화를 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based on the novel named ‘Thread of Lies’. In the novel there is a teenage girl named Cheonji. When Cheonji was bullied, she asked for help from her family, but they laughed it away. So, she pretended to be fine, but it didn't work. Even though she actively tried to solve the problem among her peer group, it also failed and drove her to suicide. Based on the plot, this novel is identifying the mental state and the process of suicide.
    I analyzed the process of Cheonji's suicide under three conditions: using the lie, using the lie as a defense mechanism, and not using the lie as a defense mechanism. First, I focused on Cheonji's expressions and the reason these expressions are ignored. Next, I denote the mechanism of the lie and Cheonji’s reasoning. Finally, I analyzed the failure of Cheonji's defense mechanism and her suicide.
    In Chapter Three, I discuss a case study of literary therapy with adolescents using this novel. The purpose of literary therapy with young people is to identify a way to understand and address suicidality in their peers. Literary therapy helps young people empathize with the suicidal character and implement minor changes to address this issue in their daily lives.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Cheonji is not timid and identified her effort to solve problems herself. In particular, as the treatment progressed, participa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inevitable situation of Cheonji who cannot fight back to the huge group. After, they focused on Cheonji’s feelings. They identified warning signs of suicidality, such as loneliness and depression, feelings of embarrassment, and cognitive decline. Following this activity, students reported their final opinions on how to protect Cheonji. They specifically focused on Mira, a student in the same class as Cheonji who was once her close friend that was aware of Hwayeon's bad deeds. However, they acknowledged that taking the victim's side is a difficult task that requires courage.
    In conducting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most adolescents had no difficulty accessing the narrative of suicide. This provides a foundation for identifying risk factors and aiding people who may be suicidal as well as implementing positive behavioral 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전